|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대통령의 전격적인 비상계엄 선언은 네이버와 카카오에 적잖은 충격을 안겼다. 예고 없이 벌어진 상황에 수많은 이용자가 동시에 네이버 포털과 카카오톡, 다음 뉴스 등으로 몰리면서 일시적인 접속 오류가 발생했다. 일각에서는 "통신이 끊겼다" "카카오톡이 검열당하고 있다"는 등의 확인되지 않은 루머까지 퍼지며 혼란이 가중됐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곧 밝혀졌지만 양대 플랫폼은 이번만큼은 같은 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비상대응에 나섰다.
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오는 4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대비해 전사적 비상 운영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특히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에 따른 서비스 장애를 막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인프라 점검을 강화했다.
우선 카카오는 트래픽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또 서버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버 다운을 막을 수 있는 기술조치 등을 단행해 기술적 안정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포털 다음은 뉴스를 보려는 이용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이슈 포커스' 페이지를 신설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탄핵 관련 기사와 특보 등을 종합해 제공하며 그동안의 경과를 정리한 '탄핵 심판 타임라인'도 함께 공개된다. 선고 당일인 오는 4일 오전 11시에는 윤 대통령 탄핵 헌재 심판 선고를 실시간 뉴스 라이브로 중계할 예정이다.
네이버 역시 카페와 뉴스 댓글창 등에서 지난해 12월 트래픽 폭주로 인한 접속 오류를 겪은 전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인력을 확충하고 선고 당일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주요 서비스에 대한 사전 테스트와 시스템 점검도 이미 마무리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