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 '챗GPT'가 지브리 밈의 흥행으로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7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챗GPT 지난달 MAU는 509만명이다. 전달 대비 31.6%, 전년보다 478.3% 올랐다. 앱 매출 순위도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미지 그리기 기능으로 유료 멤버십 구독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 중이다.
챗GPT는 2023년 7월 국내 앱 서비스를 시작한 후 지난달 처음으로 앱 MAU 500만명을 돌파했다. 신규 앱 설치 건수(143만6000여건)도 역대 최대치다.
챗GPT 이용자 증가는 '지브리 밈'을 이끈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달 25일 공개한 이 기능은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화풍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 관심을 끌었다. 특정 사진을 게재한 뒤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라고 요청하면 마치 지브리 애니메이션에 나올 법한 그림을 제공하는데 품질이 좋다는 평가다.
이용자들은 챗GPT로 만든 지브리 화풍 그림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엑스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했다. 국내외 커뮤니티에는 후기와 생성 사례가 빠르게 퍼졌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얼굴을 지브리 화풍을 모사한 그림을 엑스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하며 '지브리 마케팅'에 나섰다.
기능 출시 후 국내 챗GPT 이용자 수도 가파르게 늘었다. 25일 이전 지난달 일평균 일일 이용자 수(DAU) 100만명 안팎이었는데 25일 120만명대로 오르더니 지난달 31일 199만명, 지난 3일에는 317만명을 돌파했다.
챗GPT는 양대 앱마켓 매출 순위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난 2월1일 기준 앱 매출 21위까지 떨어졌던 챗GPT는 지난달 30~31일 1위로 오르더니 현재 3위로 유지 중이다. 구글 플레이에서도 지난 2월2일 49위에서 지난 5일 9위로 오르더니 현재 11위로 유지 중이다.
이러한 순위 상승에는 앱 결제를 통한 신규 유료 구독자 수 증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은 멤버십별로 일일 이용 허용 횟수에 차등을 뒀다. 무료 이용자는 하루에 최대 3개만 생성할 수 있지만 플러스(20달러, 약 2만9000원) 이상 유료 멤버십 구독자에게는 제한이 없다.
챗GPT 구독은 웹 또는 앱 결제로 가능하다. 국내 웹 결제 기준으로는 부가가치세 10%까지 더해 22달러(약 3만2000원)를 내야 한다. 앱 결제 기준 구독료는 원화로 고정된 2만9000원이다. 최근 원화 강세로 환율 영향을 받는 웹 결제보다 앱 결제가 더 저렴해진 셈이다.
챗GPT 한국 유료 구독자 수가 이번 새 기능을 통해 얼마나 늘었을지 알 수 없다. 업계에서는 2022년 12월 챗GPT 서비스 출시 후 가장 유의미한 구독자 수 성장세를 보였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오픈AI는 1분기 기준 유료 구독자 수가 전 분기 대비 450만명 늘어난 2000만명을 돌파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