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대규모 입출금 등 이상 거래를 파악한 뒤 자동으로 차단하는 이상거래시스템(FDS)을 고도화했다고 14일 밝혔다.
FDS는 고객의 금융서비스에서 얻게 되는 접속정보와 거래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 및 탐지해 이상금융거래를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금융당국의 'FDS 운영 가이드라인'이 제시한 이상거래탐지 시나리오 51개를 포함해 새마을금고의 특성을 고려한 250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고안해 적용했다.
특히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89개 인구감소지역에서 400여개 점포를 유지하며 시중은행들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다. 금융사기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 중장년·고령층 고객의 비중이 높은 이유다.
새마을금고는 이번 FDS 고도화 작업을 통해 금융사기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 중장년·고령층 고객의 자산 보호를 더욱 강화했다. 중장년·고령층을 겨냥한 고액 편취와 명의도용 등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세분화했다.
FDS 고도화 작업은 금융권의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액이 큰 폭으로 늘어 마련된 대안이다. 2023년 기준 금융권의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액은 총 1965억원으로 전년(1451억원) 대비 큰 폭(35.4%)으로 늘었다.
더불어 새마을금고는 지속적으로 신종 보이스피싱 등 사기·피해 유형을 분석하고 수시로 탐지 시나리오를 개선하며 빠르게 진화하는 금융사기 수법에 신속히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이미 금융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 FDS 모니터링센터 오픈, 지난해 10월 보이스피싱 악성앱 탐지 강화, 지난해 12월 명의도용 탐지 솔루션을 도입한 바 있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앞으로도 신규 보이스피싱 사기·피해 유형 등을 지속적인 분석을 통한 이상금융거래 탐지 고도화로 새마을금고 고객의 재산보호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