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각) 미국 마이애미 플로리다 카세야 센터에서 열리는 UFC 314를 앞두고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각) 미국 마이애미 플로리다 카세야 센터에서 열리는 UFC 314를 앞두고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으로 스마트폰 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중국 생산 제품에 대한 고강도 관세 정책이 가시화되면서 대응 전략을 두고 고심이 깊다.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현지시각)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등 총 20개 대상 전자 제품을 관세 면제 대상으로 분류했다. 미국 정부는 현재 중국에 125%, 그 외 국가에 10%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번 조치로 스마트폰은 예외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A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관세 면제는 일시적"이라고 밝히며 위기는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금요일에 발표된 관세의 예외는 없으며 특히 우리를 가장 나쁘게 대하는 중국은 더욱 그렇다"며 "(스마트폰 등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의 적용을 받고 단지 다른 관세로 부류(bucket)가 옮겨갈뿐"이라고 했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반도체 관세 부과 전까지 시간만 벌게 된 것이다.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 등) 제품들의 리쇼어링을 위한 특별 관세인 별도의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품목별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갤럭시 스마트폰 대부분을 생산하는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율이 부과됐다. 생산거점을 비교적 관세가 저렴해진 인도(상호관세율 26%) 등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145%의 관세를 부과받은 중국에서 여전히 아이폰을 대부분 생산 중인 애플은 수송기 여러대를 통해 관세 발효 전 미국으로 아이폰 및 자사 제품을 실어오는 '긴급수송'에 나서기도 했다. 애플 역시 인도로 생산기지를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분위기다.

반도체 관세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로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많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철강과 알류미늄, 자동차 등에 상호관세를 예외로 하고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했다.

이렇게 된다면 애플은 반도체 관세에 더해 생산기지를 이전하기 전에는 대 중국 관세 중 하나인 '펜타닐 관세' 20%까지 추가로 적용받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