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인구수보다 노인과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중요하다는 경기연구원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15일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저출생에 따른 경기도 인구구조 변화 전망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경기도 전체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지만,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유소년 인구 비중은 2000년 21.0%에서 2023년 11.1%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경기도 유소년 인구 비중도 이와 비슷한 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수 자체보다 중요한 건 전체 인구에서 노인과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한다. 저출생 문제 해결 없이는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동시에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2024년 11월 20세 이상 경기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저출산 주요 원인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47.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12.7%),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10.1%), '주택 마련의 어려움'(8.9%)이 뒤를 이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으로는 '여성의 사회활동과 육아가 가능한 일가정양립 지원(30.1%), '청년층이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못하는 원인 해소'(29.2%)를 꼽았다.
출생아·인구감소 대응을 위해 경기도가 추진할 정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31.5%)을, 중장기적으로는 '성평등, 다양한 가족의 수용성과 같은 문화로의 변화'(21.5%)를 꼽았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도의 인구정책이 나아갈 방향으로 '균형과 포용의 인구 전략,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비전으로 한 추진체계를 제안했다.
영역별 핵심과제로 노인통합돌봄지원 전담조직 운영조례 제정, 인구감소 지역 학교의 역할 재구조화, 지역별 빈 일자리 실태 조사·외국인 실업자 일자리 매칭 서비스 등을 제안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은 "출산율 회복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병행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인구 전망을 토대로 한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두 갈래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