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 처방환자 급증으로 치료제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삽화=뉴스1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 처방환자 급증으로 치료제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삽화=뉴스1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료제 품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15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해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는 33만7000명이다. 2021년 17만530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용 마약류 월간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에는 한 달 동안에만 해당 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 수가 16만6000명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청소년과 20~30대 젊은 성인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전체 환자 중 남성과 소아 ·청소년층이 대다수지만 최근 성인 여성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20대 여성 환자는 2021년 2만 명에서 지난해 4만9000명으로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남자아이 질환'으로 인식되던 ADHD에 대한 인식 변화가 성인 여성의 진단 증가로 이어진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ADHD 진단 기준이 명확해졌고 성인 ADHD 인식이 확산된 점을 꼽았다. 이외에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국내외 ADHD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도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관계자는 "최근 ADHD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 성인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진단받고 있지만, 대표 치료제인 '콘서타'의 공급 부족 현상이 길어지면서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치료제 사용 증가에 맞춰 환자 대상 올바른 정보 제공과 장기 관리 체계 구축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내에서는 환인제약, 명인제약, 한국얀센 등 3개 사가 메틸페니데이트가 주성분인 의약품을 판매하고 있다. 한국얀센은 수입해 판매하는 ADHD치료제인 '콘서타'의 공급 부족을 지난해 4월, 7월, 올해 2월까지 총 3차례 식약처에 보고했다. 식약처는 의료기관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품귀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