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내년 중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뱅크· 카카오뱅크·토스뱅크) 가운데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는 곳은 토스뱅크가 유일하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16일 오전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2025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내년 주담대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주담대는 한 번 나가면 대출기간이 30년 등으로 길기 때문에 치열하고 꼼꼼하게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다른 인뱅들도 출범 5년쯤 주담대 상품을 출시했는데, 내년이면 토스뱅크의 출범이 4년 반이 넘기에 다른 인뱅들과 비교해 늦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주담대는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낮고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은행들에게는 대출 자산 성장은 물론 수익원 확대를 노릴 수 있는 핵심 상품군으로 꼽힌다. 앞서 케이뱅크는 2020년, 카카오뱅크는 2022년 각각 주담대를 출시한 바 있다.
토스뱅크는 이달 초 주담대 출시를 위한 '담보배분 시스템 고도화 및 부동산 담보 LGD(손실률) 산출 사업' 공고를 내고 사업자 선정 절차에 돌입한 상황이다.
해당 사업을 통해 ▲현행 담보배분 요건에 대한 GAP(갭) 분석 ▲담보배분 시스템 개선 요건 정의 ▲부동산 담보 금리/내부목적 LGD 산출 ▲부동산 담보 LGD 산출 시스템 개발 요건 정의 ▲부동산 담보 LGD 적용 요건 정의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은미 대표는 "지금까지는 '최초'라는 수식어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이 되는 것이 토스뱅크의 새로운 지향점"이라며, "최적화, 기술 내재화, 글로벌 확장을 통해 미래형 은행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457억원의 첫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한데 이어 올해 역시 흑자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표는 "토스뱅크는 출범한지 3년 반이 됐다"며 "다른 금융사들은 성숙기에 돌입했다고 볼 수 있는데, 성숙기에 돌입하면 금융주를 주식으로 봤을 때 통상 배당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토스뱅크는 배당주가 아니라 성장주"라며 "어느 정도 성숙기에 오르면 그때는 이제 조금 더 수익화하는 데 집중을 해야 되겠지만 지금은 수익으로 성장 엔진을 돌리는 데 더욱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