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오는 23일 개막하는 '오토상하이 2025'(상하이 모터쇼)에 참가해 중국 고객들에 특화된 신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16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베이징 모터쇼와 함께 중국 양대 모터쇼로 꼽히는 상하이 모터쇼에도 부스를 마련해 고객사와의 접점을 늘리고 글로벌 수주 확대 전략을 모색한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중국 시장에서 현지 완성차업체를 비롯한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프로모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상하이 모터쇼 참가를 시작으로 타겟 고객에 대한 '제품 로드쇼'를 전년대비 2배 이상 강화하고 현지 중심의 고객 네트워킹을 강화해 올해 수주 2억달러(약 286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중국 상하이 국가 전시 컨벤션센터(NECC)에서 열리는 이번 모터쇼에 300㎡ 규모의 부스를 마련한다. 현지 완성차업체와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프라이빗 부스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규모 일반인 관람객들이 모터쇼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브랜드를 알리는 전시 전략보단 철저하게 고객사 중심의 마케팅 활동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모터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현지 브랜드들과의 영업 접점도 확대한다. 글로벌 조사기관에 따르면 오는 2030년 세계에 판매되는 자동차 3대 중 1대는 중국 브랜드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모터쇼에 선행 제품 8종을 비롯해 중국 연구소에서 자체개발한 신기술을 공개한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상하이와 연태 2곳에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상하이는 현지 완성차업체와 글로벌 고객사 수주를 위한 부품 설계와 함께 차세대 플랫폼 등 선행 기술을 연구하는 중국 내 연구개발 중추 기지다. 연태는 현지에서 출시하는 신규 차종 개발과 양산업무를 담당한다.
현대모비스가 공개하는 현지 특화 신기술은 2종이다. 상해연구소에서 개발한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AR-HUD)와 음향기술을 집약한 사운드 데모카 등이다.
김덕권 현대모비스 중국사업담당 전무는 "연구개발과 생산거점, 물류망을 모두 갖춘 중국시장에서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며 "현지 고객들이 선호하는 기술을 면밀히 분석해 한 단계 앞선 맞춤형 신기술로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