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권의 의대 열풍·이과 선호 현상으로 인해 이과에서 문과로 전향한 학생 수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지난달 26일 실시된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채점 결과에 따르면 수학 '확률과 통계' 응시생은 59.5%로 전년(53.9%) 대비 5.6%포인트 증가했다. 해당 과목은 문과생이 주로 응시한다. 이과생이 대부분 치르는 미적분과 기하는 같은 기간 46.1%에서 40.5%로 5.6%포인트 감소했다.
국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했다. 이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언어와 매체' 과목 응시생은 지난해 37.4%에서 올해 33.8%로 3.6%포인트 줄었다. '화법과 매체' 응시생은 같은 기간 62.6%에서 66.2%로 3.6%포인트 늘었다.
이과생이 학습 부담 등을 이유로 탐구영역 2과목 중 1과목을 사회탐구로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도 늘어났다.
올해 사회탐구 응시생은 64.6%로 전년(55.1%) 대비 9.5%포인트 급증했다. 2022년 통합수능 도입 이래 최대다. 반면 과학탐구 응시 비율은 같은 기간 35.4%로 44.9%에서 9.5%포인트 급감했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상위권 이과 쏠림에 부담감을 느낀 중위권 이과생이 상위권 대학 진학을 위해 문과로 전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근 의대 선호 현상으로 상위권 학생이 이과에 쏠렸고 서울 소재 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더 높은 상황"이라며 "부담감을 느낀 이과 중위·중하위권 학생이 문과로 전향하며 중상위권 대학을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대표는 "문과 상위권 학생이 수능 점수 확보에 다소 유리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의대 등 최상위권 학생은 과학탐구 과목이 중대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