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에게 상법 개정과 밸류업 실행을 통한 증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이재명 후보와 국내 증권사 리서치 센터장들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진행된 '증권사 리서치 센터장 간담회'를 통해 국내 자본시장 정상화를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당초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일부가 공개 진행되며 국내 주식시장의 문제점과 원인, 해결책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이 오갔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를 파이프라고 한다면 주가 상승에는 수압이 중요하고 돈에 힘이 있어야 한다"며 "상법 개정과 밸류업 정책이 수압 세기를 키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고 센터장은 특히 "중국의 주주환원률은 32% 한국은 20%로 한국이 중국보다 낮다"며 주주환원률을 높이는 방법을 강조했다. 그는 "자본환원을 높이고 이후 불투명한 지배구조 개선, 대주주 사익 추구 금지, 투자자 보호, 회계 투명성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최근 동력이 약해졌다는 우려가 나오는 밸류업의 실행도 재차 강조했다. 고 센터장은 "일본도 10년간 꾸준히 노력했다"며 "한국도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관련된 부분이 꾸준히 추진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
이에 이 후보는 주주환원율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에 대해 물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기업들이 배당 의사 결정을 많이 하고 싶어도 종합과세를 통해 배당액의 49%를 세금으로 납부해야하는 점을 지적하며 과도한 배당소득세를 지적했다.
이 후보는 "배당 소득세를 보장해야 한다는데는 공감한다"며 "다만 세수 감소와 직접 관련이 있는 문제다 보니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증시를 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외이사 선임 조건 완화를 제안했다. 김 센터장은 "상장사 사외이사 선임 조건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센터장은 "상법 시행령에 따르면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의 사외이사는 동일 업종 출신이 제외되기 때문에 업계 전문가를 영입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사외이사 선임 조건을 완화하면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을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 후보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임기를 장기로 두고 제한을 많이 완화하면 결국 자기 사람을 뽑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풍토에서는 자기 식구들이 아닌 객관성 있고 이해관계 없는 사람을 뽑으라는 규정인데 조건을 완화하면 사돈의 팔촌까지 뽑을 우려가 있다"고 답했다.
이에 김 센터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사인 미국의 마이크론이 최근 TSMC 전 회장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며 "우리나라 30대 기업의 사외이사는 교수, 관료가 대부분으로 전문성도 결여됐으며 거수기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외이사 선임 조건이 완화하면 우수한 CEO를 영입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