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급증하는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 팔을 걷었다.
경기도는 향후 5년간의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담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및 지원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하며, 사회적 인식 확산과 실질적인 피해 감소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을 목표로 한다. 피해예방 교육과 홍보, 피해사례 수집·대응 등 4대 중점과제와 세부 추진 방안을 담고 있다.
도는 보이스피싱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해 단계별 학습과 실습으로 실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주부, 노인, 학생 등 보이스피싱 사기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으로 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디지털 교육 콘텐츠도 개발한다.
피해 예방 홍보 강화를 위해서는 SNS(누리소통망), 유튜브, G버스TV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사기 수법과 피해사례를 담은 홍보물과 동영상을 제작해 전파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신·변종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사례를 수집해 최신 피해 온라인 사례집을 제작한다. 이를 시군과 공공기관에 배포하고 3년 주기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 실태조사를 추진한다.
또 금융감독원, 경찰청, 통신사 등 관계기관과 정보 공유, 피해 예방 정책 관련 간담회, 공동캠페인 등 협력체계를 구축해 신종 전기통신 금융사기 범죄에 대한 도민의 사전 피해 예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가 지난 2월 실시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현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피해를 입은 도민의 평균 피해액은 1인당 81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