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사진은 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이 '창립 30주년 여의도연구원 연속토론회, 국민 위에 군림하는 국가기관 정상인가?'에서 개회사하는 모습. /사진=뉴스1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윤희숙 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지난 24일 KBS 1TV에서 중계된 국민의힘 정강·정책 연설에서 연설자로 나온 윤 원장은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다"며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대통령 심기를 살피며 두 명의 당 대표를 강제로 끌어내렸고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후보를 눌러 앉히기 위해 국회의원이 연판장을 돌리는 등 대통령을 말리지 못한 정치,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계엄은 너무나 혐오스러우면서도 익숙한 우리 정치의 고름이 터진 결과"라고 밝혔다.

윤 원장은 파면 후 사저로 돌아간 윤 전 대통령이 '이기고 돌아왔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무엇을 이겼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새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다수당이 대통령 탄핵을 압박하고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공직자를 탄핵해 다수당이 의석수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무정부상태가 됐다"며 "우리 정치가 국민을 장기적으로 이롭게 하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불능'상태에 빠졌다고 진단하고 문제를 직시하고 결단을 내려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원장은 "6월 취임할 새 지도자는 정쟁을 뛰어넘어 한국경제가 재도약할 수 있도록 새판을 까는 역할을 해야 하기에 대통령 취임 첫날 당적을 버리고 비정상적인 위기를 바로잡고 즉시 물러나는 3년 임기 대통령이어야 한다"며 "새 '국민 대통령'은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과 책임을 재편하는 '제7공화국'의 기틀을 짤 수 있도록 국회 개헌논의를 관리해야 하기에 '정파성'을 버리고 2028년 4월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를 수 있도록 한다는 약속을 국민 앞에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또한 대통령 취임 즉시 거국내각을 구성해 경제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쏟되 정치를 정쟁과 완전히 분리해 여야 협력의 정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