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25일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생애 주기를 고려한 공공주택 공급이 필요하며 '모두의 안심주택'을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SH공사와 서울특별시의회, 한국도시계획가협회는 지난 24일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저출생과 청년 주거 불안, 초고령 사회 진입 등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안심주택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토론회의 참석자들은 "모든 계층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공주택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민·관이 협력해 지속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기중 SH도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안심주택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도심내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라며 "민간 사업자의 사업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원석 중앙대 교수는 "미국의 사례처럼 한국에서 고령자가 '제2의 인생'을 준비하기 위한 도심 내 주택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안심주택 활성화 전략과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창효 한밭대 교수는 "모두의 안심주택은 특정 계층을 넘어 다양한 계층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했다.
이정훈 이지스자산운용 대외협력대표는 "민간은 원가 상승과 금융 리스크 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며 "다양한 행정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상하 SH공사 사장은 "모두의 안심주택은 세대별 특성과 주거 수요를 반영한 중요한 공공주택 정책"이라며 "사업의 성공을 위해 참여 주체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