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찰이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화폰(보안 처리된 전화) 서버를 받기로 합의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핵심 증거로 꼽히는 비화폰 서버를 수사기관이 확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8일 뉴스1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비화폰 서버 자료를 (경호처가) 최대한 협조해 주기로 한 것은 맞다"며 "실제 자료를 어떻게 줄지는 알 수 없어서 계속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경호처로부터 비화폰 서버를 어떤 방식으로 제출받을지 실무 협의 중이다. 서버를 그대로 넘겨받는 방식과 서버 내 증거물을 복제해 파일로 생성하는 포렌식(이미징) 방식 등을 검토 중이다.
경찰은 지난 16일 오전 10시쯤 비화폰 서버, 대통령실 및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압수수색을 놓고 벌어진 6번째 경찰과 경호처의 대치였다. 다만 경호처는 불승낙 사유서를 제출했다.
당시 경호처는 "임의제출 방식으로 자료를 제출하기로 합의했다"면서도 "경찰 측 요청 자료가 방대해 구체적인 제출 방식과 비화폰 등 일부 자료에 대해서는 양 기관이 추가 협의를 통해 진행하기로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비화폰 서버는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입증할 핵심 증거로 꼽힌다. 12·3 비상계엄 당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부터 민간인 신분이었던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까지 경호처가 제공한 비화폰을 통해 소통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3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등에게 여러 차례 비화폰으로 연락해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와 경찰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도록 했다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도 받고 있다. 김 차장은 2차 체포영장 집행 직전 비화폰 서버 관리자에게 통신내역 삭제를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이 비화폰 서버 등 핵심 증거를 확보하게 되면서 윤 전 대통령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