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폭격을 퍼붓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 발 물러났다. '수입 물품에 대한 특정 관세 해소'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미국으로의 자동차 및 부품 수입 조정 개정안' 포고문을 발표하면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됐던 국내 와성차 및 부품업계가 한숨을 돌리게 됐다
30일 완성차업계와 주요 외신 보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정명령 서명은 완성차업체의 관세 부담을 인하하기 위한 조치이며 다른 관세와의 중복 부과를 막고 미국 완성차의 경우 수입산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일부 경감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완성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납부한 기업들은 철강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다른 관세를 추가로 내지 않아도 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산 완성차에 부과한 25% 관세에 대해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품목과의 중복 부과를 없앴다. 이미 낸 중복 관세는 환급받을 수 있도록 조정할 방침이다.
완성차 부품에 예정됐던 25% 관세 역시 1년 차에는 차 가격의 3.75%, 2년 차에는 2.75% 한도까지 환급이 가능하며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영향을 완화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고율 관세 충격에 휩싸여 수익성 악화를 고민하던 완성차업계와 관련 부품업계는 숨통이 트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전사 TFT(태스크포스팀)까지 꾸리고 최적의 인센티브 운영 전략을 천명했던 현대차·기아도 최악을 면했다.
2~3개월치 현지 재고 물량이 소진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지만 이번 조치로 인해 당분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전략을 다시 수립할 수 있게 됐다.
중소부품업체에도 안도감이 퍼졌다. 판스프링·서스펜션·범퍼 등 등 한국산 22개 완성차부품 품목이 50% 관세 위험에서 벗어나서다.
완성차 부품업계 관계자는 "당장의 수익성 악화 우려를 떨쳐낸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다만 이번 일을 계기로 정부가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문가도 이번 조치에 대해 안심하긴 이르다고 지적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내부 완성차업체가 내는 불만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오락가락하는 트럼프의 장사꾼 기질 때문에 당장의 위기는 넘겼지만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은 새 정부 출범 이후에 본격적인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는 명분이 있기 때문에 당분간 협상력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대응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