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경매 앞두고 있는 암사동 감정가 9억원 어린이집과 광주 초월읍 신월리 160억원 기숙학원 (사진제공=지지옥션)
12일 경매 앞두고 있는 암사동 감정가 9억원 어린이집과 광주 초월읍 신월리 160억원 기숙학원 (사진제공=지지옥션)
높은 교육열로 불경기를 모르던 교육기관이 경매시장에 속속 등장하고 있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교육기관 경매 물건수는 3년 사이 6배 증가했다. 불경기가 장기화되면서 부모들이 사교육에도 지갑을 닫는데다 교육기관의 과잉공급이 겹치면서 매물이 쏟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상반기 전국 교육기관 물건수는 78건으로 2010년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다. 2009년 이전에는 10건 이하로 물건이 나오다가 2010년 13건, 2011년 37건, 2012년 69건으로 급증했고 올해 70건을 넘어서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교육기관의 대표적인 경매물건인 어린이집은 영유아 감소와 경기침체로 원생들이 감소해 경영난을 겪게 되면서 경매로 많이 나왔다.

실제 지난달 4일에는 광주 북구 삼각동에 위치한 감정가 16억원3027만원의 어린이집이 경매로 나와 감정가의 59%인 9억6700만원에 낙찰됐다. 해당 물건은 지하1층, 지상3층 1743.8㎡ 규모의 대형 어린이집으로, 2년 전 경매로 나와 낙찰됐다가 재개원한 지 1년 반 만에 다시 경매로 나온 것이었다.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 골목길을 사이에 두고 있는 어린이집 두곳도 나란히 경매로 나왔다. 소유자가 동일한 어린이집으로 감정가는 각각 14억6430만원(193㎡), 9억6068만원(791㎡)이다. 오는 12일 첫 경매를 앞두고 있다.

한때 큰 인기를 누렸던 유명기숙학원들도 속속 경매 매물로 나오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4곳의 기숙학원이 경매로 나왔다. 감정가만 385억원에 달한다.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서 경매되는 경기 광주시 초월읍 신월리에 위치한 K기숙학원의 감정가는 160억원이 넘는다. 4층으로 된 건물이 있으며 토지면적만 8511㎡이다. 지난 7월8일 첫 경매에서 유찰돼 오는 12일 최저가 128억원에 경매를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