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부활 조짐을 보였던 버블세븐 아파트가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지역별로 명암이 엇갈리고 있어 주목된다. 취득세 감면 혜택이 종료된 7월부터 시작된 거래절벽 현상이 버블세븐 7곳 중 강남 3구 경매시장에서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6일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올해 1~7월 말까지 경매 물건으로 나온 버블세븐 지역(강남 3구, 목동, 용인, 평촌, 분당) 소재 아파트 3795개를 분석한 결과 강남, 서초, 송파, 용인 등 4곳에서 6월 대비 7월 경매 낙찰가율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가율이 하락한 지역 4곳 중 낙폭이 가장 컸던 지역은 송파구였다. 이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6월 82.26%로 강남 3구는 물론 버블세븐 7개 지역 중 가장 높았지만 7월에는 74.36%를 기록, 한달 만에 7.9%포인트 내려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어 낙폭이 컸던 곳은 서초구로 조사됐다. 서초구 아파트 7월 낙찰가율은 전월 77.34%에서 5.6%포인트 내린 71.74%로 자체 연중 최저치를 찍었다. 강남 3구는 물론 버블세븐 7개 지역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치다.

강남구도 6월 81.44%까지 올랐던 낙찰가율이 7월 들어 77.78%를 기록하며 3.66%포인트 떨어졌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지역이 78.46%를 기록하며 전월(79.2%) 대비 0.74% 하락했다. 이 지역 내 미분양 물량 적체가 여전한 상황을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반면 목동·분당·평촌은 같은 기간 낙찰가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이 중에서도 오름세가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목동이었다. 목동 아파트 낙찰가율은 6월 78.1%에서 7월 81.8%로 3.7%포인트 올라 낙찰가율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평촌 소재 아파트 낙찰가율이 같은 기간 79.07%에서 81.44%로 2.37%포인트 올랐고, 분당 아파트는 80.6%에서 2.29%포인트 오른 82.89%를 기록하며 버블세븐 7곳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분당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5월(82.3%)부터 3개월 연속 80%대로 나타나 눈길을 모았다.

이처럼 같은 버블세븐 지역 내에서도 낙찰가율 등락이 엇갈리고 있는 것은 결국 지역별 집값에서 기인한 취득세 부담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취득세 감면 혜택이 종료되면서 세율은 지역과 상관없이 같아졌지만 실제 취득세 부담은 집값이 비싼 강남 3구에서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7월 거래절벽의 악영향이 버블세븐 중에서도 강남 3구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 것은 부동산에 대해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투자 트렌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양상은 하반기로 갈수록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이어 “다만 실수요 관점에서 강남 소재 아파트를 저가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는 시각도 나란히 존재한다”며 “유찰에 따른 저감 메리트와 입찰기피 기조를 잘 활용하면 의외의 우량한 물건을 낙찰 받을 수 있는 만큼 지역별 낙찰가 동향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자주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