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한류.. 중국 틈새시장을 공략하자
한류를 타는 것은 비단 K-POP이나 드라마뿐만 아니다. 한국 화장품 역시 한류에 힘입어 아시아를 비롯한 전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약 10억6700만 달러(1조1500억원)로 처음으로 수입액(9억7800만 달러)을 넘어섰다.

이와 더불어 LG생활건강 · 미샤 등 주요 화장품 업체의 해외매출 성장률이 30%를 넘었다는 사실은 한국 화장품이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시장에서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중국 강타한 한국 화장품… 그러나 아직 역부족
2012년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은 대부분 한국 화장품에 대해 “중, 고가의 기능성 좋은 제품”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화장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좋은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한국 화장품 수입총액은 작년 기준 2억2868만 달러(약 2610억원)로, 2011년 대비 증가율도 3.9%에 그치고 있어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P&G와 함께 중국 화장품 시장 시장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로레알의 화장품 매출액이 19억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현재의 인지도 형성단계에서 더 나아가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 급선무이다.

◇ 중국 남성 화장품 틈새시장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중국 화장품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기존 20~40대 중국 여자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것 이외에 점점 미용에 관심을 두는 중국 남성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에서는 최근 남성화장품 열풍이 불고 있으며, 그 성장세가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남성화장품 시장의 높은 성장률은 중국 내 소득이 크게 늘어나고 남성의 외모가 사회적, 직업적 성공과 직결되어 있다는 인식이 강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중국 남성들이 단독으로 쇼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부유층의 소비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 역시 남성화장품 시장의 높은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다. 그렇다면 증가하는 남성 소비자 시장에서 앞서나가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을까?

◇ 검증된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한 남성소비자 공략 필요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최근 들어서 중국 소비자들을 오프라인 채널 외에도 검증된 온라인 채널에서 소비를 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의 화장품 유통채널은 전자상거래로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추세에 힘입어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 화장품 업체들은 오프라인 매장 유통채널 뿐만 아니라 검증된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남성소비자들을 공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가 올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중국의 화장품 매출 중 58.1%가 온라인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인터넷 쇼핑몰이 성황적인 것은 아니므로, 라파소(樂峰罔) 나 쥐메이요핀(聚美優品) 과 같은 영향력이 큰 인터넷 쇼핑몰을 벤치마킹 하거나 협력을 통해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만하다.

◇ 주목해야 할 유명 화장품전문 인터넷쇼핑몰들: 라파소(樂峰罔), 쥐메이요핀(聚美優品)
라파소(樂峰罔)는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화장품 전문 인터넷 쇼핑몰로 전문가 추천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고객들의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라파소의 창시자는 둥팡펑싱(東方風行) 미디어그룹의 CEO인 리징으로, 둥팡펑싱미디어의 TV 프로그램은 전국 200여 개 방송국에서 방영되고 있으며 그 시청인구가 무려 6억 명이 넘는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주로 의상 코디와 화장법 등을 소개하고 있어 20~30대 여성에게 인기가 높은 편이다. 라파소는 2008년 설립 이래 2011년까지 연평균 300% 이상의 매출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12년의 화장품 매출액은 15억 위안에 달한다.

중국의 또 다른 유명 화장품 전문 인터넷 쇼핑몰은 쥐메이요핀(聚美優品)으로, 중국 내 최초의 화장품 공동구매 사이트로 시작하여 설립 3년만에 중국 최대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쥐메이요핀은 라파소(樂峰罔)에 비해 할인이벤트 등의 프로모션 활용 및 사이트 운영 능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주된 고객은 학생이나 직장인과 같은 젊은 층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