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투데이는 8월 국민은행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25개 자치구 중 11개 자치구가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전세가율 60%를 넘은 곳이 3개구였던 것에 비해 4개월 만에 8곳이 증가한 것이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성북구로 8월 기준 65.8%를 기록했다. 이어 ▲관악 63.1% ▲서대문 62.8% ▲강서 61.8% ▲구로·동작 61.1% ▲동대문 60.9% ▲중 60.8% ▲도봉 60.6% ▲광진 60.2% ▲성동 6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낮은 곳은 건물이 낡아 상대적으로 전세가격이 싼 재건축 추진 지역이거나 지역 개발에 따른 매매가격 상승 기대감이 큰 곳들이 많았다. 강남권과 용산 최근 서남권 개발 등 개발호재가 많은 금천, 양천, 영등포구가 포함됐다.
가장 낮은 곳은 용산구로 46.8%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강남구가 52.1%를 기록했고 이어 ▲강동 54.2% ▲서초 54.6% ▲송파 54.8% ▲영등포 55.2% ▲양천 55.5% ▲금천구 57.8% 등의 순으로 전세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강남권을 비롯해 용산이 전세가율이 낮은 이유는 고가아파트가 많은 반면 전셋값이 저렴한 재건축 아파트가 많이 밀집돼 있기 때문”이라면서 “양천구는 명문학군으로 맹모들의 유입이 많고, 영등포와 금천구는 서남권 개발 등 발전 가능성이 높은데 비해 저평가 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전셋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금천구가 최근 독산동 도하부대 이전부지 대규모 복합단지 개발과 서남권 개발 등으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금천구는 7월 대비 8월 아파트 매매값 변동률이 서울 25개구 중 유일하게 보합수준을 유지한 지역이다.
독산동의 J공인중개사는 “금천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는데, 최근 대규모 복합단지 개발과 서남권 개발 계획 등으로 광명과 안양 등에서 독산동 일대 매매를 문의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셋값 고공행진…서울 11개구 전세가율 60% 넘어
노재웅
2,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