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광주 북구 오치동 한국전력전남지역본부 주차장에서 전남지역본부 직원들이 승합차를 이용,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으로 떠나려고 하고 있다.
22일 오전 광주 북구 오치동 한국전력전남지역본부 주차장에서 전남지역본부 직원들이 승합차를 이용,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으로 떠나려고 하고 있다.

송전탑 건설 공사 재개로 주민과 경찰의 대치가 심화되고 있는 경남 밀양에 한국전력공사 각 지역본부 직원들이 인력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 한국전력 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지역본부 직원 10여명이 밀양 송전탑 공사 현장으로 떠났다. 전남지역본부 주차장에서 출발한 이들 직원은 송전탑 건설 직접 지원을 비롯한 업무지원을 맡는다. 밀양 송전탑 건설 공사 재개 이후 여직원은 3일, 남직원은 7일 간격으로 인력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국전력이 밀양 송전탑 공사를 밀어붙이며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 지역본부 직원들을 차출 동원하고 있는 것은 사태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인력 공백으로 인한 민원 처리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전력 전남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인력 지원은 전국 지역본부가 함께 하고 있으며, 주민들과 물리적 충돌을 야기할 수 있는 업무는 맡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YMCA 등 광주전남지역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핵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은 지난 21일 "밀양 송전탑 공사 강행은 주민들의 뜻을 무시하는 폭력적이고 비민주적인 만행"이라며 "주민들은 대대로 이어온 논과 밭, 그리고 삶터를 지키기 위해 며칠 째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텐트 하나 없이 추위에 떨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밀양 송전탑과 연결될 신고리 3호기는 핵심부품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사실이 밝혀져 정부와 한전은 무리한 공사 강행의 명분을 잃었다"며 "공사를 즉각 중단하고 밀양 주민들이 주장하는 사회적 검증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12시 한전 광주전남본부 앞에서 밀양 송전탑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1인 시위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