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우선, 청년들의 기업가 정신을 높이기 위해 대학內 창업동아리 활동과 창업교육 등을 지원하는 ‘창업아카데미’ 사업을 전년 대비 42.9% 증액 반영한다.
또 대학생(팀)의 우수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화 비용을 지원하는 창업동아리 사업은 400개에서 1,000개로 대상을 확대한다.
창업교육 지원대학도 30개에서 50개로 확대하는 한편, 기존 강좌 방식을 멘토링, 컨설팅 등이 포함된 패키지 형태로 개편한다.
이외에도 우수 창업인프라를 갖추고 청년창업을 집중 지원하는 창업선도대학에 대한 지원 예산도 확대된다.
내년에는 5개 대학을 추가로 선정(18→23개 대학)하여, 창업공간 제공, 시제품 제작 등을 위한 창업거점기관을 넓혀가는 한편, 창업선도대학 內 창업특기생 발굴, 창업학과, 창업휴학제 등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신규로 도입할 예정이다.
대학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전문교육, 개발 및 창업을 지원하는 ‘앱창작터’를 22곳에서 30곳으로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청년창업기업에 초기 투자자금을 지원하기 위해1,000억원 규모의 ‘청년전용창업펀드’를 신규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융자’ 중심의 창업자금 지원방향을 ‘투자’ 중심으로 개선하여 융자상환 부담 및 성실 실패자의 파산위험을 경감한다.
청년창업에 대한 재정지원 방향도 △창업자금 ‘융자’에서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고 △개별 지원방식에서 교육·멘토·사업화를 패키지 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一石三鳥(창업저변확대-창업인프라조성-창업사업화 활성화)의 효과를 기대한다.
대학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전문교육, 개발 및 창업을 지원하는 ‘앱창작터’를 22곳에서 30곳으로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청년창업기업에 초기 투자자금을 지원하기 위해1,000억원 규모의 ‘청년전용창업펀드’를 신규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융자’ 중심의 창업자금 지원방향을 ‘투자’ 중심으로 개선하여 융자상환 부담 및 성실 실패자의 파산위험을 경감한다.
청년창업에 대한 재정지원 방향도 △창업자금 ‘융자’에서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고 △개별 지원방식에서 교육·멘토·사업화를 패키지 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一石三鳥(창업저변확대-창업인프라조성-창업사업화 활성화)의 효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