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야모야병은 전체 뇌혈류의 80% 정도를 공급하는 양쪽 동맥이 점차 막히는 병이다. 동양인에 흔하게 발생되며 특히 일본과 한국에 사례가 많다.

이에 ‘연기가 모락모락 올라가는 모양’이라는 뜻의 일본어로 명명되었다.


마찬가지로 뇌혈관이 막이는 중풍이 갑자기 막혀 반신불구, 식물 인간, 사망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데 비해 모야모야병은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는 모야모야병이 진행하는 병이기 때문. 따라서 모야모야병 증상도 진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모야모야병은 6단계로 나뉘어지는데 병이 시작하는 1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다가 2-3기가 되면 모야모야병 증상이 나타나고 5-6기가 되면 오히려 증상이 없어지기도 한다.

모야모야병 증상은 어느곳에 피 공급이 부족한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운동 장애 (마비), 감각 이상, 언어 장애, 안면 마비, 지능 장애, 학습 장애, 시력 장애 뇌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24시간이내에 증상이 사라지지 않으면 뇌경색으로 분류되는데 이때는 완치는 불가능하고 후유증을 남길수 있다.

또 모야모야병 증상없이 잘 지내다가 성인이 되어 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이때는 뇌경색이 아닌 뇌출혈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모야모야병 자체는 현재까지 불치의 병이다. 하지만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은 존재하며 현재까지의 수술적 치료 중 가장 많이 행해지고 위험성이 적다고 알려진 치료는 간접 혈관 문합술이다.

한편 모야모야병을 예방하는 방법은 없으나 앓고 있음을 알게 되면 조치를 통해 신경학적 손실을 막을 방법을 찾을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자가진단을 통해 이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울고난후 또는 뜨거운 라면을 먹다가 팔다리가 갑자기 힘이 빠진다면 의심해볼 수 있는데 5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는 병의 진행이 빠를 수 있으니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