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계기로 KT는 앞으로 NTT도코모, 차이나모바일 등 한중일 통신3사간 전략적 제휴협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KT와 차이나모바일은 지난 2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6월 모바일아시아엑스포(Mobile Asia Expo)에서 TDD LTE와 FDD LTE 이종 LTE간 데이터로밍 시연을 선보인 바 있으며 이번에는 양국간 IPX를 포함한 실제 상용망을 이용, 이종LTE간 음성 및 데이터로밍 통화를 성공시켰다.
이날 시궈화(Xi Gouhua) 차이나모바일 회장은 KT 광화문 사옥 내 시연장에서 데이터로밍을 이용, 중국 최대 동영상 사이트 유쿠닷컴에 접속해 동영상을 시청했다. 이후 서울과 베이징으로 각각 음성로밍 통화를 해보는 등 한중간 음성·데이터로밍을 직접 시연하고 통화품질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또한 양사는 HD영상통화 서비스인 VoLTE 시연에서 AMR-WB, H.264 코덱을 통해 생생한 음성·영상통화를 선보였다.
양사는 2014년 내 양국간 LTE로밍 및 HD영상통화(VoLTE)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로써 내년부터는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여행객들이 LTE로밍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쉽고 편리하게 여행정보를 확인하고 SNS를 이용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HD영상통화 서비스로 멀리 있는 친구, 가족과 바로 옆에서처럼 생생한 음성, 영상통화를 즐길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오후 KT와 차이나모바일, 일본 NTT도코모 3사는 서울 신라호텔에서 시궈화(Xi Guohua) 차이나모바일 회장, 카오루카토(Kaoru Kato) NTT도코모 사장, 표현명 KT 대표이사 직무대행 등 각 사 CEO가 참석한 가운데 기존의 전략적 제휴협정(SCFA)을 3년간 연장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SCFA 연장체결로 각 사업자는 새로운 수익창출을 꾀하고 글로벌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표현명 KT 대표이사 직무대행은 “KT는 데이터로밍 무제한과 LTE로밍 등에서 세계 최고의 로밍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있고, 이종LTE 간 상용망로밍 성공으로 더욱 수준 높은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또한 차이나모바일, NTT도코모와의 협력을 앞으로도 지속·강화함으로써 아시아의 중심인 한중일 3국 고객에게 더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상이한 국가에 위치한 통신 사업자간의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교환망
■SCFA(Strateg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KT-차이나모바일-NTT도코모 간의 전략적 협력 협의체
■FDD LTE 및 TDD LTE
전세계에서 사용중인 LTE 네트워크는 주파수 분할 방식의 FDD LTE방식(Frequency Division Duplex Long Term Evolution, 주파수분할 방식 4세대 통신 서비스)과 시분할 방식의 TDD LTE방식(Time Division Duplex Long Term Evolution, 시분할 방식 4세대 통신 서비스)으로 구분된다.
FDD LTE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업로드와 다운로드 주파수 채널을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채택한 대표적인 사업자로는 미국의 버라이즌(Verizon), AT&T 등이 있으며, 한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이 방식을 채택했다.
TDD LTE는 시분할 방식으로 동일한 주파수 채널에 시간 차를 두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전송하며 업·다운로드의 무선자원 분배를 FDD LTE 에 비해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중국의 차이나모바일이 상용 준비 중이며 일본, 인도, 호주 등은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MR-WB(Adaptive Multi Rate- Wide Band)
전세계에서 사용중인 LTE 네트워크는 주파수 분할 방식의 FDD LTE방식(Frequency Division Duplex Long Term Evolution, 주파수분할 방식 4세대 통신 서비스)과 시분할 방식의 TDD LTE방식(Time Division Duplex Long Term Evolution, 시분할 방식 4세대 통신 서비스)으로 구분된다.
FDD LTE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업로드와 다운로드 주파수 채널을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채택한 대표적인 사업자로는 미국의 버라이즌(Verizon), AT&T 등이 있으며, 한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이 방식을 채택했다.
TDD LTE는 시분할 방식으로 동일한 주파수 채널에 시간 차를 두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전송하며 업·다운로드의 무선자원 분배를 FDD LTE 에 비해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중국의 차이나모바일이 상용 준비 중이며 일본, 인도, 호주 등은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MR-WB(Adaptive Multi Rate- Wide Band)
고품질 음성 지원용 코덱의표준 방식
■CSFB(Circuit-Switched Fall Back)
■CSFB(Circuit-Switched Fall Back)
회선 교환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LTE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3G·2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식4. H.264: 고품질 영상 지원용 코덱의 표준 방식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상이한 국가에 위치한 통신 사업자간의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교환망
■SCFA(Strateg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KT-차이나모바일-NTT도코모 간의 전략적 협력 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