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곽 인골 및 출토유물(제공=문화재청 보도자료) |
그동안 신라·가야지역 목곽묘(木槨墓, 무덤 구덩이에 나무곽을 짜서 넣고, 그 안에 다시 시신을 담은 관이나 토기 등의 부장품을 안치하는 무덤형식)에 대한 조사는 많았지만, 목곽묘의 목부재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는 습지에 무덤을 조성하여 곽의 목재가 잘 보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곽의 규모는 길이 230cm, 너비 90cm이다.
곽의 내부에는 인골이 온전한 채로 남아 있었으며, 유개고배(有蓋高杯, 뚜껑이 있는 굽이 높은 접시) 등 토기류도 11점이 부장되어 있어, 목재의 치목과 결구방식, 매장방식 등 당시의 장례습속(葬禮習俗, 죽은 사람을 땅에 묻거나 처리하는 사회적 관례나 풍속) 연구와 함께 인골 연구 등 신라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측은 "조사구역과 인접한 경주시 탑동 21-3번지에서 원삼국시대의 목관묘가 발굴되는 등 이곳 주변은 천관사가 건립되는 등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도시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이므로 경주지역의 문화환경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