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7일(현지시간)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4에서 삼성과 LG가 곡면 UHD기술과 웨어러블 스마트 기술로 맞붙는다.
혁신 가전제품 경연장인 이번 전시회에서 양사는 곡면 UHD와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를 통한 스마트라이프 실현 기능을 갖춘 혁신 제품을 전세계 소비자들에게 소개한다.
양 사가 마련한 전시 부스 규모는 삼성전자가 2600㎡(약 790평), LG전자가 2043㎡(620평)로, 이 공간은 각사의 올해 전략 제품으로 채워진다.
◆곡면 UHD TV, 승자는?
삼성과 LG, 양사 모두 전시장에 105형 커브드(곡면) UHD TV를 내놓고 화질 경쟁에 나섰다.
CES 2014를 기점으로 '커브드 UHD TV' 시대를 여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인 삼성전자는 C전시관 입구부터 곡선을 가미한 조형물에 커브드 UHD TV 전제품군을 전시하면서 신시장에 대한 개척의지를 내비친다.
커브드 UHD TV 시청 경험은 사람이 실제 세상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TV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커브드 TV'는 항상 도전 과제였으며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은 부문이었다.
삼성전자는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TV 카테고리인 '커브드 TV'를 본격적으로 시장에 선보이기 위해 최고의 곡률(TV 화면이 휜 정도)을 가진 105형 커브드 UHD TV를 통해 궁극의 화질을 보여 주며, '곡률=기술=화질'이라는 수식어를 입증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를 반영해 105형 커브드 제품은 21대 9의 화면비율, 1100만 화소(5120×2160)에 업계 최대 곡률 4200R을 구현해 아이맥스영화관과 같은 웅장한 시청경험을 제공한다.
광원(BLU, Back Light Unit)이 필요 없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달리 UHD TV에 쓰이는 LED 디스플레이는 최고의 곡률을 구현하기가 까다로워 경쟁사와 기술 격차를 한층 더 벌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삼성 측은 보고 있다.
또한, 화면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 깊이감을 더해주는 '오토 뎁스 인핸서(Auto Depth Enhancer)' 기술을 적용해 깊은 입체감과 몰입감으로 3D 화면을 보는 듯한 생생한 화질을 느낄 수 있는 등 독보적인 TV 화질 기술도 강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65, 55형 등 다양한 평면 UHD TV 제품과 '타임리스 갤러리' 디자인의 85·110형 UHD TV까지 라인업을 대폭 확대해 선보인다. 이는 UHD TV 대중화를 노린 라인업 다양화 전략에 따른 것이다.
특히 삼성은 올해 UHD 방송 표준화와 맞물려 새로운 UHD 방송환경에 간단히 대응하는 삼성전자 고유의 기술인 '에볼루션 키트'를 전시관에서 시연함으로써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꾀한다.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업부장은 "삼성 커브드 UHD TV의 곡률이 곧 최고 기술이자 최고 화질이라는 점을 확실히 보여 줄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TV시장을 창출해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 |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크기와 성능을 다변화한 UHD TV 라인업을 구성했다. 65형 이상의 대형 제품으로 프리미엄시장을 공략하고 그 이하의 기본형 제품으로 울트라HD의 대중화를 이끈다는 전략이다.
먼저 105형 21대 9 곡면 UHD TV(모델명: 105UC9)를 화질경쟁을 위한 첨병으로 내세웠다. 이 제품은 105형 초대형 곡면 디스플레이에 5K 울트라HD 해상도(5120×2160)의 21대 9 비율 화면을 구현한다.
105형과 함께 98형, 84형, 79형, 65형 등 2014년형 프리미엄 UHD TV 대형 라인업도 첫선을 보인다.
울트라HD TV시장 대중화를 위한 55형, 49형 제품도 선보인다. 세계 TV시장의 수요가 60형 이하 제품에 집중돼 있는 만큼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한 조치다.
이와 함께 올해 새롭게 출시할 ‘77형 울트라HD 곡면 올레드TV(모델명: 77EC9800)’를 중심으로 다양한 올레드 TV 라인업을 선보인다.
77형 UHD 곡면 올레드TV는 세계 최대 올레드 TV에 초고해상도(3840×2160) UHD를 구현한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인정받아 ‘2014 CES 최고혁신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LG전자는 이외에도 65형, 55형 울트라HD 올레드TV와 갤러리 올레드 TV 등으로 차세대 TV시장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각오다.
◆'갤럭시기어' 통한 '스마트홈' vs '라이프밴드 터치' 통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이번 전시회에서 양사 모두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를 통한 스마트 라이프를 제시한다는 점 또한 눈여겨볼 만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양사 모두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를 통한 스마트 라이프를 제시한다는 점 또한 눈여겨볼 만하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대상 기기들을 연결해 하나의 통합 앱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선보인다.
그동안 스마트홈 서비스는 여러 기기들을 연결하는 게 어렵고 제어하는 앱도 서로 달라서 대중화가 어려웠으나, 삼성전자는 스마트TV, 스마트폰, 웨어러블기기는 물론 생활가전, 카메라, 조명 등을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하고 통합된 하나의 앱을 적용해 사용 편의성을 대폭 높였다.
특히 삼성은 이번 CES에서 '스마트한 하루'를 시연하며 스마트홈 서비스의 강점을 소개한다. 시연자가 전시 부스 외부에서 손목에 찬 갤럭시기어에 "Going Out(외출)"이라고 말하면 부스의 조명, 에어컨이 꺼지고 로봇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하는 등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 준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출시하고 스마트홈분야의 기술 선도업체로서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그동안 스마트홈 서비스는 여러 기기들을 연결하는 게 어렵고 제어하는 앱도 서로 달라서 대중화가 어려웠으나, 삼성전자는 스마트TV, 스마트폰, 웨어러블기기는 물론 생활가전, 카메라, 조명 등을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하고 통합된 하나의 앱을 적용해 사용 편의성을 대폭 높였다.
특히 삼성은 이번 CES에서 '스마트한 하루'를 시연하며 스마트홈 서비스의 강점을 소개한다. 시연자가 전시 부스 외부에서 손목에 찬 갤럭시기어에 "Going Out(외출)"이라고 말하면 부스의 조명, 에어컨이 꺼지고 로봇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하는 등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 준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출시하고 스마트홈분야의 기술 선도업체로서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맞수 LG전자는 CES 2014를 기점으로 ‘웨어러블 헬스케어’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는 손목밴드 형태의 웨어러블기기 ‘라이프밴드 터치(Lifeband Touch)’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신제품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해 칼로리 소모량과 걸음 수, 움직인 거리 등을 체크한다.
사용자가 올레드 화면을 터치하면 시간, 스마트폰의 수신 전화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음악도 재생할 수 있다. 화면의 LED 색상으로 설정해 놓은 운동량 달성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생활방수가 가능한 손목밴드 형태로 착용감이 뛰어나며 블랙 색상으로 세련미를 더했다.
라이프밴드 터치와 연동이 가능한 ‘심박동 이어폰(Heart Rate Earphone)’도 획기적이다. 운동을 하면서 음악을 듣는 사람이 많다는 소비자 인사이트에 착안, 이어폰으로 심박동을 잴 수 있도록 개발한 신개념 제품이다. 광학 센서 기술을 적용, 이어폰이 귀에 흐르는 혈류량을 체크해 심박동을 측정한다.
라이프밴드 터치는 iOS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며, 블루투스 4.0을 지원한다.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는 손목밴드 형태의 웨어러블기기 ‘라이프밴드 터치(Lifeband Touch)’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신제품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해 칼로리 소모량과 걸음 수, 움직인 거리 등을 체크한다.
사용자가 올레드 화면을 터치하면 시간, 스마트폰의 수신 전화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음악도 재생할 수 있다. 화면의 LED 색상으로 설정해 놓은 운동량 달성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생활방수가 가능한 손목밴드 형태로 착용감이 뛰어나며 블랙 색상으로 세련미를 더했다.
라이프밴드 터치와 연동이 가능한 ‘심박동 이어폰(Heart Rate Earphone)’도 획기적이다. 운동을 하면서 음악을 듣는 사람이 많다는 소비자 인사이트에 착안, 이어폰으로 심박동을 잴 수 있도록 개발한 신개념 제품이다. 광학 센서 기술을 적용, 이어폰이 귀에 흐르는 혈류량을 체크해 심박동을 측정한다.
라이프밴드 터치는 iOS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며, 블루투스 4.0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