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환자 진료통계,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

▲연령별 진료인원성별비교(2013년,제공=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령별 진료인원성별비교(2013년,제공=건강보험심사평가원)
1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09~2013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독감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한 포털사이트의 주요 키워드로 '독감환자 진료통계'가 자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독감의 유행에 따라 연도별로 큰 편차를 보였는데, 2009년에 약 18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3년은 약 21만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독감환자 진료통계에 나온 독감 진료인원을 월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신종플루가 가을철에 크게 유행했던 2009년을 제외하면 1, 2월의 진료인원이 연중 가장 많았으며, 특히 최근 2년간(2012년~2013년)에는 1월보다 2월~3월의 진료인원이 더 많아 늦겨울과 초봄까지 독감의 유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감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6.3%~49.5%, 여성은 50.5%~53.7%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에 비해 조금 많았으나, 평균 성비가 1.1로 성별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감 진료인원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10세 미만에서 34.1%로 가장 높았고, 10대가 14.5%, 30대가 13.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세 미만 환자는 전체 진료인원의 48.6%를 차지해 독감 환자 2명 중 1명은 소아 및 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자료에는 독감환자 진료통계 외에 독감의 증상과 예방법, 치료법 등도 함께 실려 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상기도 염증(기침, 콧물, 객담 등), 두통, 근육통,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으로 매년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특히 2009년에 크게 유행했다. 

미열이 서서히 시작되는 일반적인 감기와 달리 갑작스럽게 고열 증상이 시작되며 전신근육통의 정도 역시 심하다.

노인, 영유아, 임신부 및 만성 내과질환 환자는 인플루엔자 고위험군에 속하며 중증 합병증 및 사망의 위험이 높아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독감’을 예방하기위한 방법은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항바이러스제 복용이 있으며 손 씻기, 기침 가려하기 등 일상생활에서의 예방법도 도움이 된다.

독감에 걸렸을 시에 치료법은 항바이러스제, 합병증 발생 시 항생제 요법, 대증요법이 있으며, 전염성이 강한 만큼 주위 사람들과의 접촉을 금하고 안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