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골 퇴행성 관절염 원인 밝혀내...치료법 개발 중요 단서
고령화에 따라 퇴행성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도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중 하나.
하지만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수술이나 통증완화 치료 외에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없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을 밝혀냈다.

연골퇴행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한 이번 연구는 향후 퇴행성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골(cartilage)이란 관절조직에서 뼈의 말단을 둘러싸 기계적 힘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고, 뼈 사이의 마찰을 줄여 관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주는 조직을 말하는데, 퇴행성관절염은 이런 연골조직의 퇴행과 뼈의 구조적 변화를 동반하는 질병을 말한다.


관절 내 염증 심화 및 통증을 수반했으나 병리적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노화나 유전적 요인, 비만/외상 등 물리적ㆍ기계적 요인 등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퇴행성관절염 연골세포에서는 아연 이온의 농도가 정상 연골세포와 달리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고, 아연 이온이 세포 내에서 연골퇴행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밝혀냈다.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전장수 교수와 김진홍 박사(제1저자)가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 셀(CELL) 2월13일자에 게재됐다. (논문명 : Regulation of the catabolic cascade in osteoarthritis by the zinc·ZIP8·MTF1 axis)


전장수 교수는 “필수 무기질인 아연의 과다와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가 연골퇴행에 관여하고 있음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좌로부터 김진홍 교수, 전장수 교수
▲좌로부터 김진홍 교수, 전장수 교수
<이미지제공=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