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 폐경 이후 여성 환자가 60%...수영 효과적
척수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뼈나 인대가 두꺼워짐으로 여러가지 증상이 유발되는 질병인 척추관 협착증이 매년 15%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척추관 협착증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8년 64만명에서 2012년 114만명으로 연평균 15.6%씩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매년 1.8~1.9배 정도 더 많았다.

또 2012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37만 3천명, 32.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33만 4천명, 29.2%), 50대(22만 6천명,19.8%) 순(順)이었으며, 특히 50대 이상 여성이 전체 진료환자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 협착증은 요통으로 시작하여 엉덩이와 허벅지가 당기고 점차적으로 무릎 아래에서 발바닥까지 저리고 시리게 되며, 가만히 있을 때보다 걸어 다닐 때 엉덩이에서 다리까지 터질 듯한 통증이 심해지고 쉬면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밤에 종아리가 많이 아프고 발끝이 저린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무거운 것을 드는 운동이나 조깅, 골프 등 척추관절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운동은 협착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체중 감소가 필수인 만큼 수영, 자전거타기, 가벼운 걷기 등 허리근육 강화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수영은 허리나 배, 다리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물의 부력에 의해 척추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수영이 권장되고 있다. 

<이미지=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