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선정된 3개 마을은 3억 원에서 6억 원의 사업비가 마을별로 지원되며 해당 공원사무소와 주민들이 공동으로 체험공간과 야생화 단지를 조성하고 생태관광 프로그램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동고지마을은 5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전남 안도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동고지라 불린다. 주민 15명이 거주하며 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도원마을은 약 300년 전 남씨와 문씨가 유배되어 살게 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치 무릉도원 같다고 하여 도원마을이라 불리며 다랭이논이 계절별로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소백산국립공원의 달밭골마을은 택리지에 십승지(十勝地) 중 한 곳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산속에서 밭을 일구는 마을이라 하여 달밭골이라 불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들 마을에 대해 마을안길 조성, 경관작물 식재 등 마을환경 개선과 향토음식 개발 등 소득기반을 조성하여 4계절 생태관광지로 변화시킬 계획이다.
한편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사업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주민들이 국립공원의 우수한 자연생태를 온전히 활용해서 경제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속가능한 공원관리 정책이다.
현재까지 다도해해상 관매도, 한려해상 내도 등 6개 국립공원에 10개 명품마을을 조성됐으며 조성 전 대비 방문객이 두 배 이상 증가하고 주민소득이 크게 늘어날 정도로 고부가가치 마을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황명규 상생협력실장은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사업은 관 주도의 일방적인 지원이 아니라 주민들의 기대욕구 속에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지기 때문에 지속성과 성공률이 꽤 높은 편”이라며 “국립공원의 자연을 잘 보존해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돌려주는 사례로서 2017년까지 18개소를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그간 조성된 명품마을 |
<이미지제공=국립공원관리공단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