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서울시내 대학에서 홍역 감염자가 발생했다는 보도에 집단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 대책을 내놓았다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13일 최근 서울 소재 A대학에서 발생한 홍역 집단감염의 확산 차단을 위해 전문 분과위원회를 개최했으며 그 결과, ‘학내 홍역 예방접종 미접종자 대상 일제예방접종’을 권고함에 따라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홍역 발생 대학內 미접종자 일제 예방접종 실시
해당 대학에서는 4월 둘째주 첫 환자 발생 이후, 학내 접촉자를 중심으로 유행이 발생하여 5월12일까지 총 12명이 확진되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그간 서울시, 관할 보건소 및 학교와 신속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환자 감시와 역학조사를 강화하면서 학교에는 의심증상자 등교 중지 조치 및 미접종자 예방접종을 권고해 왔으며, 5월 초 연휴 이후 의심증상자 신고가 증가해 관계기관 대책 회의(5월8일)를 통해 학교 의무실에 ‘홍역 임시 진료실’을 설치, 의심환자 진료와 확진검사, 의심환자 격리 조치를 시행해 왔다.

홍역 집단 유행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금일 전문분과 위원회 자문을 거쳐 해당 학교 학생 및 교직원 중에서 홍역 예방접종력(2회)이 확인되지 않은 94년 이후 출생자와 외국인 유학생 등을 대상으로 15일에서 17일에 걸쳐 일제 예방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는 주변 대학에 대해 4월부터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인근 B대학에서 4월 중순 발생한 1명 환자 이외 의심환자 신고는 없지만 지속적으로 환자감시를 강화할 예정이라 밝히며, 발열과 발진을 동반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고, 의료기관에서는 홍역 의심증상자를 진료하면 신속히 보건소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예방접종관리과 박옥 과장은 “현재 대학생의 경우 대부분 홍역 예방접종을 완료하여 대규모로 유행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극히 일부에서 미접종자 및 접종력이 있더라도 면역력이 떨어진 감수성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집단발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홍역은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추가 환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기에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최초 발생환자의 감염경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대책을 신속히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지만 2번의 홍역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 받고, 해외여행객의 경우 예방접종과 더불어 감염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한편 홍역이 발생한 대학은 국민대학교와 광운대학교로 알려졌으며,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3월과 4월 동남아시아 지역에 홍역이 유행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비를 강조하는 자료를 배포한바 있다. 

<이미지제공=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