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대자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는 대자보가 대학가에 확산되는 가운데, 최 부총리가 이에 대해 “입장마다 시각차가 다르다”고 반박했다.
최경환 부총리는 30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경환 대자보에 대해 “젊은이들이 여러 가지 취업이나 학자금 결혼 등 어려운 면을 표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경제 정책에 대한 생각이 다 같을 수 없다. 굉장히 처한 입장에 따라 시각이 다르다”며 “비정규직 수를 줄이고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사회안전망 확충에 투자하든지 해서 궁극적으로는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노사정 타협기구를 통해 이익의 균형을 맞추는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앞서 최 부총리는 지난 달 천안 국민은행 연수원에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 “정규직 과보호로 겁 난 기업이 (인력을) 못 뽑고 있다”며 “(정규직) 해고를 쉽게 하기보다 임금체계를 바꾸는 여러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빈축을 샀다.
한편, 이달 초 연세대와 고려대 학내 게시판 등에 ‘최씨 아저씨께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의 대자보가 게시된 이후 경희대 중앙도서관 등에 ‘최경환 학생, 답안지 받아가세요’라는 제목의 대자보가 붙었다.
이 대자보는 “오늘날 한국 경제위기의 해결 방법을 쓰시오”라는 시험 문제에 작성자인 최 부총리가 부동산 경기 활성화,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정부 경제 정책을 답안으로 적은 내용이 담겨 있으나 낙제를 의미하는 ‘F’를 써놓았다.
또 부동산 경기 활성화 정책에 대해서 “이미 집값이 내려가는 상황에서 빚을 내 집을 사라고 말하며 소비를 활성화하겠다는 대책은 빚져서 빚 갚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를 두고는 “고용이 경직돼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한 뒤 “제대로 된 안정적인 일자리가 부족하고 생계를 위한 최소한의 생활임금도 보장받지 못해 우리는 쓸 돈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제는 노동유연화라는 칼날로 비정규직, 간접고용 노동자, 청년, 여성노동자를 베어버리고 정규직마저 베려고 한다”며 “600만 명의 ‘장그래’가 칼날 앞에서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경환, 대학가 대자보 반박 “경제정책, 입장마다 시각차 다르다”
강소영 기자
2,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