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리얼미터 조사(위) 한국갤럽 조사(아래) /자료제공= 리얼미터, 한국갤럽 |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신년 기자회견과 ‘문건 배후 수첩 파동’에 대한 부정적 여론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집권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2015년 1월 2주차(12~16일) 주간집계 결과, 박 대통령의 취임 99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1주일 전 대비 3.8%포인트 하락한 39.4%(매우 잘함 12.0%, 잘하는 편 27.4%)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4년 12월 2주차(39.7%)에 기록했던 집권 후 최저치를 경신한 기록이다.
부정평가는 3.0%포인트 상승한 51.9%(매우 잘못함 33.3%, 잘못하는 편 18.6%)로 조사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 또한 6.8%포인트 벌어진 -12.5%포인트를 기록, 집권 후 최대 격차를 보였다.
박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는 거의 모든 계층에서 하락했는데, 특히 대전·충청·세종(11.8%포인트), 서울(9.7%포인트), 부산·경남·울산(7%포인트)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6.2%포인트, 40대에서 6.0%포인트, 20대에서 5.9%포인트, 50대에서 2.8%포인트 하락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 16일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1월 둘째 주 주간집계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35%, 부정 평가는 55%였다. 이는 긍정률은 취임 이후 최저치, 부정률은 최대치를 경신한 기록이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 '소통 미흡'(19%), '인사 문제'(13%), '공약 실천 미흡·입장 변경'(11%),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9%), '경제 정책'(9%), '복지·서민 정책 미흡'(5%), '세제개편안·증세'(5%) 등을 지적했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가장 큰 특징은 50대에서 처음으로 긍정률(43%)보다 부정률(50%)이 높게 나타난 점이다"고 해석했다.
이 조사는 지난 13~15일 사흘 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임의번호걸기(RDD)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총 응답자 수는 1002명(응답률 1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리얼미터이번 주간집계는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및 자동응답전화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