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1%대 시대가 열렸다. 한국은행이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기준금리는 기존 연 2.0%에서 1.75%로 떨어졌다. 우리나라에서 기준금리가 1%대로 떨어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산업계는 대체로 이번 통화정책을 반기는 모양새다. 금리인하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수출기업의 수익성 증대로 이어지고 금융부담도 줄여 내수경기 회복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디플레이션 우려도 조금씩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전반적으로 산업계가 정부의 깜짝 금리인하 정책으로 때아닌 호재를 맞은 형국이다.

이제는 산업계가 정부정책에 화답할 차례다. 정부는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에 내줄 수 있는 카드를 아낌없이 꺼냈다. 하지만 정작 기업들은 알게 모르게 혜택을 받으면서도 임금인상에 인색하고 투자에도 소극적이다.

현재로선 대기업들이 신규채용을 늘리고 근로자 임금인상과 투자확대를 꾀하는 방안이 정부와 한 방향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대기업이 자금을 풀면 중소기업이 살아나고 이와 연계해 서민의 소비도 활력을 되찾는다.

물론 기업은 이익을 최우선 가치로 보는 주체인 만큼 무턱대고 고용과 임금, 투자를 늘릴 수는 없다. 시장의 흐름과 미래의 불확실성까지 진단해 전략을 세워야 해서다.

중요한 것은 의지다. MB정부 때 대기업들은 법인세 인하, 고환율 정책 등으로 많은 혜택을 누렸다. 이른바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책의 수혜를 받은 것인데 당시 정부는 기업이 살아나면 고용이 늘고 투자도 활성화될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고용과 투자는 생각만큼 늘지 않았다. 오히려 중산층이 붕괴되는 부작용만 초래했다.
[기자수첩] 이젠 기업이 답할 때다

현재 박근혜 정부의 대기업 정책도 큰 틀에서는 이전 정부를 계승한 모습이다. 기업이 살아야 국가경제도 원활하게 돌아간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한 채 현 정부는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고 내수를 살릴 수 있는 주체로 대기업을 지목했다.

이제 키는 재계로 넘어왔다. 정부와의 동상이몽에서 벗어나 우리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기업이 앞장서야 할 때다. 닫힌 금고문을 열고 고용과 투자시장이 활성화되도록 기업이 자발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현 정부의 슬로건인 ‘창조경제’ 역시 기업이 꿈틀거릴 때 비로소 시작될 것이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75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