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사’ ‘황사 마스크’ /사진=뉴스1 |
봄철 황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7일 마스크와 안약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공개했다.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는 평균 약 0.6μm 이하 크기의 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어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구입 시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방한대,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지 않은 무허가 마스크가 판매되는 사례가 있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특히 약국, 마트, 편의점 등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품의 외부 포장에 ‘의약외품’이라는 문자와 ‘KF80’, ‘KF94’ 표시를 꼭 확인해야 한다.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모양이 변형돼 기능을 유지할 수 없고 오히려 먼지나 세균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세탁 후 재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 수건이나 휴지 등을 덧댄 뒤 마스크를 사용하면 밀착력 감소로 인해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안약, 인공눈물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안약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안약 용기의 끝이 눈꺼풀이나 속눈썹에 닿으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일회용 안약은 개봉 후 즉시 사용하고 색이 변한 것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다른 사람과 함께 안약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2종류 이상의 안약을 사용할 경우 최소 5분의 간격을 두고 사용한다.
미세먼지나 황사가 발생하면 콘택트렌즈 보다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하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는 렌즈 소독과 세정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 눈이 보다 건조해지면서 충혈,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8시간 이상의 장시간 착용을 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