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에 흔히 나타나는 백내장, 녹내장 등의 안질환은 노안과 초기 증상이 비슷해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하지만 노안은 근거리가 보이지 않지만 백내장은 시야 전체가 뿌옇게 변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렇게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노안과 몇 가지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의 구분 방법을 알고 있다면 보다 빠르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에 혼동하기 쉬운 부모님의 노안과 백내장, 녹내장 증상의 차이점 및 치료,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50~60대에게 자주 발병하는 ‘노안’과 ‘백내장’, 수정체 혼탁 유무로 확인 가능해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나타나 50대에는 대부분이 경험하는 ‘노안’은 눈 속의 수정체가 노화됨에 따라 기능이 저하돼 나타나는 증상이다. 눈 속의 수정체는 사물의 위치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망막에 초점을 맺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이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고 가까운 거리의 사물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거리의 글자나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은 물론,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번갈아 볼 때 초점 전환이 늦어져 불편함을 동반한다. 독서할 때 처음에는 잘 보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시야가 흐릿해지고 두통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노안과 가장 혼동하기 쉬운 ‘백내장’의 경우 노안과 마찬가지로 수정체의 문제로 발생하지만, 백내장은 수정체의 혼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래 투명한 수정체가 점차 뿌옇게 혼탁이 오면서 눈 안으로 들어온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게 된다.
백내장이 생기면 밝은 낮이나 빛이 많이 들어오는 장소에서 유난히 눈이 부시고 시야가 침침해지는 ‘주맹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혼탁이 심해지면 전반적으로 사물이 노랗게 보일 수 있고 한쪽 눈을 가렸을 때 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복시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다.
![]() |
노년층 대표 안질환 ‘녹내장’과 ‘백내장’, 발병 위치 및 증상 달라
그렇다면 노년층의 대표 안질환으로 알려진 ‘녹내장’과 ‘백내장’은 어떻게 구분할까. 백내장과 녹내장은 발병 위치와 증상이 현저하게 다름에도 두 질병의 차이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 |
백내장과 달리 녹내장은 눈 안의 압력, 즉 안압이 정상보다 높아져서 시신경을 압박해 발생한다. 압박된 시신경은 손상을 입고 위축하게 되는데, 한번 위축된 시신경은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실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녹내장은 큰 자각 증상이 없어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40대부터는 매년 정기 검진을 받아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예방의 지름길이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일상 생활 속 눈 건강 위한 올바른 생활 습관 중요
노안과 백내장, 녹내장 등 안질환은 한번 진행되면 예전으로 돌릴 수는 없지만, 조기에 발견할 경우 진행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중장년층의 경우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과음과 담배를 멀리하고 물구나무 서기 등 안압을 높이는 행동은 자제하며, 선글라스 착용을 통해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등 일상 생활 속 눈 건강을 위한 올바른 생활 습관부터 지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노안, 백내장 등 안질환이 진행된 경우라면 각 질환에 맞는 수술과 교정 렌즈 등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노안은 ‘노안 수술’이나 ‘노안 소프트렌즈’를 통해 시력 교정이 가능한데,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수술을 꺼려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렌즈 착용을 권유받게 된다.
그리고 백내장의 경우 백내장 수술인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술을 통해 기존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해 치료가 가능한데, 특히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술은 노안 교정까지 한번에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