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시장이 커지며 새로운 캐릭터가 연일 선 보이게 되자 단순히 캐릭터 자체만으로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됐다. 이에 ‘뜨는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 고심한 끝에 기업들은 최근 캐릭터를 활용한 이종 협업 즉, 콜라보레이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캐릭터 측면에서는 기존에 완구 등 연관성이 높은 산업과의 단순 제휴가 아닌 전혀 다른 분야의 이종 산업과의 ‘콜라보’를 진행함으로써 소비자 접점을 넓히고 영상과 완구를 벗어난 시장에서 의외성을 발휘, 독특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 캐릭터의 인지도를 공고히 하며 캐릭터 콘텐츠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실현한다. 협업 브랜드 역시, 일반적인 상품에 캐릭터라는 새로움을 입힘으로써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어 매출 신장에도 큰 도움이 된다.
협업을 통해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캐릭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순수 국내 창작 캐릭터의 새로운 부상: 로봇트레인
TV 애니메이션 ‘로봇트레인’의 변신기차로봇 캐릭터 ‘케이’는 요즘 어린이들 사이에서 떠오르는 새로운 슈퍼스타 캐릭터다. CJ E&M은 자체 기획작 ‘로봇트레인’의 캐릭터를 활용해 공공기관, 유통, 외식 업계와 광범위한 제휴를 진행하여 이색적인 콜라보레이션을 성사시켜 인기를 끌었다.
![]() |
로봇트레인–코레일 협업 프로젝트의 경우, 캐릭터와 유관기업의 이례적인 협업으로 문화 콘텐츠를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의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더 의미있다.
실제로, 가정의 달과 어린이 날을 맞아 고민하던 학부모에게 교통 문제, 피크닉, 재미, 교육의 모든 요소를 갖춘 패키지로 만족도를 높였다. 아이들에게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실제로 만난 것 같은 이색적인 재미와 임진각이라는 의미 있는 장소에서의 경험을 전달하고, 부모님들에게는 가족과 함께하는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입소문을 타 전 타임 모두 완판 기록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로봇트레인은 좋은 빵을 만드는 뚜레쥬르와도 협업해 로봇트레인 캐릭터 케이크를 출시하고 각종 시식회 및 포토타임 이벤트를 성황리에 진행하기도 했다. 뚜레쥬르의 로봇트레인 케이크는 인기에 힘입어 8월 9일 기존 제품에서 사이즈를 업그레이드 한 ‘렛츠고! 로봇트레인과 친구들’을 출시했다.
글로벌 캐릭터, 스테디 셀러: 드림웍스와 디즈니
쿵푸팬더의 포, 드래곤 길들이기의 투슬리스, 슈렉의 슈렉, 마다가스카의 알렉스 등 글로벌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드림웍스의 캐릭터 사총사는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20-30대 사이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스테디 아이콘들이다. 드림웍스 사총사들의 인기는 단독 한국 라이센싱 파트너인 CJ E&M의 독특한 사업 기획력과 광범위한 제휴 네트워크에서 파생됐다.
CJ E&M은 계열사인 CJ 오쇼핑 셀렙샵을 통해 드림웍스 의류를 출시했으며 지난해 헬스&뷰티숍 CJ올리브영과 함께 '드림웍스 메이크업 컬렉션'을 출시했다. 그 중 '아임 더 리얼 슈렉팩(I'm the Real SHREK Pack)'과 '아임 더 리얼 슈렉 하이드로겔 마스크(I'm the Real SHREK Hydrogel Mask)'는 귀여운 디자인과 우수한 제품력으로 출시 한 달 만에 완판을 기록,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외에도 CJ E&M은 가정의 달 치킨 프랜차이즈 BBQ와 한정 시즌 프로모션, 콘래드 서울과 ‘드림웍스와 함께하는 콘래드 주니어 카니발’도 진행,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시도로 국내 드림웍스 캐릭터들의 인기를 굳히는 데 큰 몫을 했다.
콜라보레이션을 앞세운 캐릭터를 논할 때 디즈니를 빼놓을 수 없다. 디즈니의 전체 매출만 보더라도 2014년 기준 488억 달러(한화 약 53조 1,000억 달러)정도로 그 중 8%를 차지하는 캐릭터 사업의 이익률은 34%로 매출 31%를 맡고 있는 테마파크의 이익률(18%)를 크게 앞선다.
그렇기에 디즈니는 일찍부터 캐릭터 사업에 주목하고 다양한 이종업계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캐릭터에 영속성을 더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사업의 외연을 꾸준히 확장시켜오고 있다. LG전자와 제휴해 월트디즈니 스마트폰을 출시했으며, 휠라(Fila), 호킨스(Hawkins)와 같은 유통 기업들과 협업 제품들을 선보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 맥(MAC)과 신데렐라를 모티브로 출시한 라벤더 블루 패키지는 불티나게 팔려 3주 이내에 전 제품이 완판되는 등 신화를 새로 썼다.
비애니메이션 캐릭터, 전례 없는 열풍: 카카오 프렌즈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들은 두말할 것 없이 우리시대 ‘It’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메신저에서 탄생한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카카오 프렌즈의 인기는 독보적이다. 이 또한,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한 광범위한 콜라보레이션들이 견인차 역할을 했다.
올 5월 다음카카오는 캐릭터 사업을 전담하는 '카카오 프렌즈'를 독립 법인으로 분사,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후 우리 은행, 하나 은행 등 국내 16개 은행과 제휴해 캐릭터 디자인 통장을 제공하고 독특한 금융상품들을 선보였으며, 삼립식품과의 전략적 협업에 따라 스티커를 포함한 빵 제품을 출시, 여성 직장인들 사이에서 ‘카카오 콜렉터’ 열풍을 일으키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외에도 골프용품 브랜드 볼빅(Volvic)과 함께 카카오 캐릭터들이 그려진 골프공을 출시하고, 뷰티 브랜드 VDL과 ‘VDL 카카오 프렌즈 컬렉션 10종’을 한정판으로 선보이는 등 꾸준히 화제를 모으고 있다.
CJ E&M 애니메이션 사업부 한지수 본부장은 ‘기업들의 마케팅 전쟁이 점차 치열해지면서 캐릭터를 활용한 다채로운 프로모션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CJ E&M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미래 유망 콘텐츠인 캐릭터와 이종 산업과의 제휴를 통해 이색적인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 것’라고 말했다.
<이미지제공=CJ 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