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교과서 반대 집회' 국정화저지네트워크 등 진보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정화 교과서 반대 집회' 국정화저지네트워크 등 진보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정화 교과서 반대 집회'
빗줄기가 거세진 지난 7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다. 이들은 오는 14일 예정된 민중총궐기에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전국 466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이날 오후 5시20분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제4차 범국민대회를 열고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요구했다.


이날 시민 800여명(주최 측 추산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최 측과 참여 시민들은 "오는 14일 오후 4시 광화문 광장에서 있을 민중총궐기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권태선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국정화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민주주의 문제이고 학생을 가르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일군 민주주의를 지키는 문제"라며 "정부가 역사 해석을 독점하겠다는 것은 일본 극우파의 시각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권명숙 서울청소년네트워크 대표는 "교육부는 웹툰을 통해 잘못된 역사교육으로 지금 청년들이 한국을 부끄러워하고 떠나고 싶어한다고 주장한다"며 "청년들이 한국을 떠나려는 것은 금수저로 태어나지 못해서, 아무리 노력해도 바뀌지 않는 삶 때문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 한상권 덕성여대 교수는 "정부는 민생론을 앞세워 국정화 문제로 국회를 마비시키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반대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투쟁이 없다면 국정화 문제가 민생 현안에 가려질 수 있다"고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한편, '국정화 지지' 집회도 개최됐다. 대한민국재향경우회는 이날 오후 5시쯤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올바른 역사교과서 국정화 지지 제2차 국민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하루 빨리 좌편향 교과서를 폐기하고 올바른 새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