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누리과정 예산’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장휘국 광주교육감)는 3일 "여·야가 전날(2일) 내년도 정부예산에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고, 학교 시설 환경개선 사업비 등으로 3000억 원의 예비비를 편성해 우회 지원키로 합의한 데 대해 심히 유감을 표명하며,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그동안 누리과정 해결을 위해 정부 의무지출 경비로 2조1000억원을 편성할 것과 교부금 교부율을 25.27%로 올릴 것, 특별교부금 비율을 축소할 것, 시행령의 법률 위반을 해결할 것을 요구해 왔음에도 우회지원 방식으로 일부만 편성한 것은 예산 규모뿐만 아니라 갈등과 혼선을 반복하게 만드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 달 후 다가올 보육대란의 책임은 정부와 국회에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일방적으로 시·도교육청에 누리 예산을 떠넘기는 바람에 발행하게 된 지방채는 한계치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이자도 눈덩이처럼 불어나 더 이상 지방채를 발행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학교운영지원비 삭감, 열악한 교육환경 등으로 초·중등 교육의 황폐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어린이집 누리 예산 편성은 법률적으로 교육감 책임이 아닐 뿐더러 현실적으로도 교육청 재원으로는 편성 자체를 할 수 없는 만큼 2016년 어린이집 누리 예산은 편성하지 않기로 했다"며 총회에서 수차례 결의했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2016년 누리과정 예산’ 지난달 26일 충북 청주시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교육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
‘2016년 누리과정 예산’ 지난달 26일 충북 청주시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교육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