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7일 사상 최대 규모의 키리졸브(KR)·독수리(FE) 연합훈련을 시작한다.

지휘소 훈련(CPX)인 키리졸브 연습은 이달 중순까지, 실기 훈련(FTX)인 독수리 연습은음 달 말지 계속된다. 이번 훈련은 유사시 북한 최고 수뇌부와 핵·미사일 시설을 정밀 타격데 초점이 맞춰져 . 이에북관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를 으로상된다.

군 관계자는 이날 "한미 합훈련인 키리졸브와 독수리 연습이 오늘 시작된다"며 "북한의 핵심 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것이 훈련의 초점"이라고 밝혔다.

한미 양국은 매봄 키리졸브·독수리 훈련을 정례적으해왔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실시하는 이번 훈련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이번 훈련에 사최대 규모의 병력과 장비가 투입된다. 이번 훈련에 참가하는 미군은 1만5000명 이상으로, 예년의 2배 수준이며, 우리 군은 약 30만명이 이번 훈련 참가한다.

미국은 이 훈련에 핵추진 항공모인 존 C. 스테니스호를 비롯해 핵잠수함, 공중급유기 등 최신예 장비를 대거 투입한다. 북한의 방망을 유린하고 내부 깊숙이 침투해 핵심 시설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B-2 텔스 폭격기를 한반도에 전개할 것이라는 관측도온다.

한미 연합군은 이번 키리졸브·독수리 연습에 '작전계획 5015'를 처음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양국이 작년 6월 서명한 '작전계획 5015'는 유사시 북한 최고 수뇌부와 핵·미사일 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시나리오로 구성돼 있다. 북한 핵·미사일 시설에 대한제공격을 포함'4D 작전'도 이 훈련에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4D는 북 핵· 대한 탐지(Detect), 교란(Disrupt),파괴(Destroy), 방어(Defense)의 4단계 대응을 의미한다.

한미 해병대는 이날 시작하는 쌍용훈련에서 상륙작전에 이어 북한 핵심 시설을 향해 고속으로 진격하는 내륙작전을 강도 높게 진할 예정이다. 이 훈련에서 한미 양군은 유사시 미군 증원 전력을 한반도에 신속하게 전개하는 데도 초점 맞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의 증원 전력이 한반도에 도착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꺾는다는 것이다.

북한은 과거에도 그랬듯이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추가 도발로 한미 훈련에 맞대응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 한반도 긴장 수위가 급격히 고조되는 것이 가피해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3월 키리졸브 훈 기간에 스커드 계단거 미사일과 SA 계열 지대공 미사일을 잇달아 발사하며 무력시위를 했다. 이달 3일 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 직후에도 북한은 동해상으로 300㎜ 신형 방사포를 발사했다.

역대 최대 규모의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에서 작전을 마친 F-18 호넷 전투기가 착륙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재명 기자
역대 최대 규모의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에서 작전을 마친 F-18 호넷 전투기가 착륙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재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