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도봉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날씨가 풀리는 봄에 안면홍조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5년간 안면홍조환자는 2011년 4057명에서 2015년 5213명으로 48.68%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에 4057명 ▲2012년 4939명 ▲2013년 5172명 ▲2014년 5210명 ▲2015년 5213명 등이 안면홍조환자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월별 안면홍조환자를 분석한 결과, 3월이 3805명으로 가장 많았고 4월과 2월, 1월, 5월이 그 뒤를 이었다.
안면홍조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극적인 음식 장기간 섭취 ▲호르몬 변화 ▲급격한 온도 차 ▲혈관 확장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폐경 여성의 3분의 2 이상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40·50대의 경우 안면홍조 여성 환자는 남성 환자보다 각각 4.67배, 3.6배 더 많이 집계됐다.
봄철 안면홍조 예방법으로는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신선한 과일 섭취와 균형 잡힌 식습관, 콩 섭취, 적절한 운동 등이 있다. 또 과격한 세안, 사우나에서 오래 머무는 습관, 과도한 음주 등은 자제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 |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