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면세구역에 설치된 세금환급소에 출국자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사진=뉴스1DB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면세구역에 설치된 세금환급소에 출국자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사진=뉴스1DB
중소·중견 면세점 연합회는 30일 정부의 면세점 정책이 대기업 위주라며 중소 면세점의 운영 정상화를 위한 추가 지원 강화를 촉구했다.
그랜드관광호텔, 신우면세점, 진산산무, 호텔앙코르, 중원산업, 대동백화점, 엔타스듀티프리, 주신면세점, 삼익악기 등 9개 중소·중견 면세점 업체로 구성된 '중소·중견면세점 연합회'는 이날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탄원서를 통해 "정부의 대기업 면세점 우선 정책과 서울 시내면세점 추가 특허 검토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탄원서에는 ▲재벌 면세점의 추가 확장 단절 ▲출국장 면세점의 중소·중견기업 일부 할당 ▲중소·중견면세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관세청의 지원 강화 ▲대기업면세점의 중소면세점 브랜드 유치 방해와 과도한 여행사 리베이트 근절 ▲면세점 제도개선 태스크포스의 중소·중견면세점 참여 보장 ▲대기업면세점의 대변인 역할만 하는 한국면세점협회의 개선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연합회는 "중소기업 성장의 사다리를 만들겠다던 정부의 약속은 고사하고 이제는 지방 면세점에 투자한 모기업조차도 존립을 위협받는 상황이 됐다"며 "대기업 면세점이 중소·중견 면세점과의 동반성장을 얘기하고 있지만 대기업의 면세점 시장 점유율은 2012년 80% 초반에서 2015년 90%로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소·중견 면세점의 상황은 최악에 가깝다"며 "이런 상황임에도 정부는 서울 등 주요 지역에 면세점 추가 허용 방침을 확정해 3년 전 발표한 '면세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성장 지원 대책'을 사실상 포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소·중견 면세점이 혹독한 면세점 시장에서 살아남고 정부가 의도한 '성장 사다리 역할'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인큐베이션 기간'을 부여하는 등 대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