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1일 서울·경기·충북·강원·경남 등 5개 지역, 8일은 전북지역에서 파업에 돌입한다"며 "파업을 하지 않는 지역들도 1일 오후 5시 전국 시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어제(31일) 밝혔다. 학교 비정규직은 전체 교직원의 40% 가량으로 공공부문 중 가장 많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교육 현장은 다른 어떤 사업장보다 평등하고 민주적이어야 하지만, 지금 학교는 그야말로 비정규직 종합백화점이 됐다"며 "저임금과 심각한 차별, 고용불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이번 투쟁은 올해 노동계 첫 대규모 파업투쟁"이라고 밝혔다.
교육공무직본부는 "학교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 대비 평균 60% 수준에 불과하다"며 "정규직 공무원에게 주어지는 평균 200만원의 상여금도 받지 못하고, 정액 급식비도 정규직보다 낮는 등 차별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어 호봉제 도입 및 기본급 추가 인상, 정기상여금 제도 도입(1년간 100만원 수준), 각종 수당 및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고용안정과 관련해선 무기계약 고용원칙 확립과 기간제 근무자 무기계약 전환(전일제 강사직종 포함), 건강한 작업환경과 교육환경을 위한 인력 확충, 일방적인 직종통합, 강제전보 중단 등을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 |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강원지부가 2014년 11월 강원도교육청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투쟁대회'를 열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