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다음날 주식시장에서 대부분의 정치인 테마주는 거품이 꺼졌다. 김무성 테마주로 거론된 엔케이, 전방 등의 종목은 새누리당의 참패와 함께 20% 넘게 급락했다. 이번 총선의 최대 승자로 평가되는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의 테마주가 급등한 것도 아니다. 안철수 테마주인 써니전자, 다믈멀티미디어 등은 같은날 1~6%대의 하락세를 보였다.
이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은 총선 2주 전쯤 정치테마주를 단속하겠다고 발표했다. 온라인상에서 루머나 허위사실이 유포되는지 감시하고 주가조작이 의심되는 매매행위를 제재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발표를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오히려 당국을 비웃듯 정치인 테마주는 거센 급등락을 반복했다. 물론 금융당국은 이상급등하는 회사에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하지만 언제나 돌아오는 답변은 “시황변동 관련해 공시할 정보가 없다”는 것뿐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내부경영지침에 “회사를 정치인 테마주로 만들라”는 지시가 있을 리 만무하다. 금융당국은 이 사실을 알면서도 눈 가리고 아웅한 셈이다.
정치인 테마주는 주로 주식 커뮤니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퍼진다. 대부분 테마주는 기업 실적과 무관하게 정치인과 ‘옷깃’만 스친 인연으로 묶인다. 투자자들도 이 사실을 알지만 투자에 나서는 이유는 ‘혹시나’하는 마음에서다. 그 마음은 테마주 관련 글 여러개를 접하며 확신으로 바뀐다. 거짓말도 세명이 하면 믿는다는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말도 있지 않나.
여기서 금융당국은 투자자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선 테마주 관
![]() |
금융당국이 테마주 근절대책을 발표할 때 말미에 항상 덧붙이는 멘트가 있다. ‘투자자가 스스로 신중한 판단을 내려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투자자에게 주의를 당부하기 전에 당국 스스로 올바른 대응책을 마련했는지 먼저 돌아보기 바란다. 투자자가 원하는 대책은 감시를 강화하겠다는 공허한 외침이 아닌 실제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전이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432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