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올해 3월 경상수지가 100억9000만달러 흑자를 내며 4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여전히 수출보다 수입 감소세가 큰 '불황형 흑자'다. 외국인투자는 국제유가 반등과 증시 상승세로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오늘(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등을 합산한 경상수지는 100억9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2012년 3월 이후 49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흑자로 역대 최장기간 기록이다. 상품수출은 445억4000만달러, 상품수입은 32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9.3%, 16.1% 줄었지만 상품수지 흑자액은 124억5000만달러였다.
이에 무역 규모가 전체적으로 축소돼 수입이 수출보다 더 감소한데 따른 불황형 흑자 구조라는 지적이 지속되고 있다. 3월 서비스수지는 10억달러 적자로 전월(-12억4000만달러)보다 적자폭이 개선됐다. 기타사업서비스(-7억5000만달러)가 부진했지만 건설이 9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지식재산권사용료(-1억8000만달러)도 적자폭이 4억달러 감소해 서비스수지 개선을 이끌었다. 이자, 배당소득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는 8억6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지난 2월 8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던 본원소득수지는 적자로 돌아섰다. 올해 3월 배당소득이 지난 2월 3억1000만달러 흑자에서 12억2000만달러 적자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2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던 이전소득수지 역시 5억1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으며 올해 3월 외국인투자 순유입액은 34억달러(주식 36억7000만달러, 채권 -2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월 주식 순유출액이 1억1000만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주식이 외국인투자 증가를 이끌었다. 지난 2월 중순 이후부터 국제유가가 반등하고 국내 증시가 증가세로 돌아선 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인투자는 지난 2월까지 역대 최장기간인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9개월간 유출된 외국인 투자자금은 274억달러(약 31조5000원)에 달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6~11월, 6개월 연속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졌다가 7개월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파생금융상품은 7억9000만달러 증가했다. 기타투자는 자산이 3억6000만달러 증가했고 부채는 차입금 상환으로 24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준비자산(외환보유액)은 전월대비 1억달러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