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국내 주택업계가 분양절벽에 놓일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부동산시장의 특성상 정책적 수혜를 노린 건설사들이 올해 총선 전 아파트 공급량을 쏟아 내며 과잉에 이른 탓이다. 여기에 부동산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건설사들이 결국 새 사업모델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사진=머니위크DB
/사진=머니위크DB


◆미분양 느는데 계속 짓는 건설사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분양가구 수는 51만5886가구로 공급량의 67%에 그쳤다. 지난해 12월 전국 96개 사업장이 분양한 가운데 36개에서 순위 내 마감에 실패했다. 미분양물량은 지난해 11월 4만9724가구, 12월 6만1512가구로 한달 사이 각각 54.3%, 23.7% 증가했다.


이에 비해 주택 인허가 실적은 76만5328가구로 전년 대비 48.5% 증가했다. 1990년 건설붐이 일 때의 75만378가구와 비교해도 더 많은 규모다. 특히 수도권은 27만2000가구가 공급되며 전년 대비 120%가 급증했다.

전체주택 대비 아파트 인허가 비중도 늘고 있다. 아파트 인허가 비율은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로 부동산시장이 침체되면서 하락했으나 2012년 이후 다시 60%대로 상승했다. 지난해 아파트 인허가 비중은 64.4%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분양 밀어내기가 결국은 '분양절벽'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2007년 정부가 집값을 안정시키려고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자 건설사들이 앞서 밀어내기식 분양을 강행했고 공급과잉과 미분양 적체현상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이 재현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문제는 새 정부 출범 후"라며 "건설사들이 정권교체 전 분양물량을 밀어내면서 할 수 없이 분양경쟁에 뛰어들고 결국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2018년 이후엔 무엇을 가지고 먹고살 것이냐가 업계의 고민"이라고 지적했다.

한편에서는 5월 분양실적에 따라 향후 주택공급시장을 가늠할 수 있다고 본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분양이 많으면 2018년엔 그만큼 줄어드는 것이다. 지난해엔 물량을 소화했으나 올해는 유동적이고 리스크요인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달 분양 예정된 물량이 많은데 건설사들이 2분기 분양실적을 확인하고 공급을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소건설사도 해외진출 분주

그렇다면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건설업계 종사자들은 '해외진출'이 유일한 돌파구라고 꼽는다. 이미 대형·중견건설사들은 다양한 해외사업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나 중소건설사들마저 해외진출을 포기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규모가 작은 중소건설사들도 해외진출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중소건설사는 다주건설, 삼우아이엠씨, 신보, 오선엔지니어링, 이앤피, KSC건설, 토우이엔씨 등이다.

국토교통부도 중소건설사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국토부는 해외건설협회를 통해 중소건설사가 해외 건설시장에 진출하면 사업자금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국토부는 사업의 타당성 조사비와 현지 교섭비 일부를 지원하기로 하고 상반기 51개 건설사에 21억원을 지원했다.

지원자격은 최근 5년 동안 한국 중소건설사의 누적수주액이 4억달러(약 4520억원) 미만인 국가로 진출하는 기업이다. 해외 건설업 신고를 마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는 향후 예산을 늘려 지원 사업비를 늘릴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