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 밀양시의회는 지난 5월31일 밀양시청 브리핑룸에서 부산시와 김해시가 신공항 입지 선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국토교통부의 영남권 신공항 입지 발표가 한 달 남짓으로 임박한 가운데 밀양과 가덕도를 두고 부산과 영남권 4개 시·도의 논쟁이 갈수록 가열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원칙적으로 연구용역업체가 영남권 신공항의 백지화를 결론낼 수도 있다. 하지만 신공항의 필요성이 커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2011년의 선례처럼 신공항의 전면 백지화를 거론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백지화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는 입장이다. 영남권 신공항은 오는 2023년 활주로 용량이 가득 차는 김해공항에 대비하기 위해 '동남권 신공항'이란 이름으로 지난 2003년부터 논의됐다.
그러나 경제성 미흡으로 2011년에 무산됐다가 항공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8월 논의가 재개됐으며 오는 6월 국토부의 입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현재 영남권 5개 시·도 중 가덕도를 지지하는 곳과 부산과 밀양을 지지하는 나머지 4곳의 입장이 대립하는 상황이다. 이중 ▲경남 ▲경북 ▲대구 ▲울산은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등 주변 산단과의 접근성을 들어 밀양을 지지하고 있다.
반면 부산은 가덕도에 신공항이 들어설 경우 24시간 운영이 가능하고 향후 신설될 신항만도 같이 입지시켜 물류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특히 양측의 공방이 계속되면서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백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백지화 가능성을 주장하는 논리는 3가지로 귀결된다. 같은 내용으로 2011년 용역조사를 통해 신공항 논의 자체가 한차례 무산됐다는 점이 첫 번째 근거다. 굳이 수조원의 세금을 써가며 신공항을 신설하는 것보다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편이 낫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신공항 유치를 두고 영남권의 분열이 가속화되면서 정부가 백지화를 선언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영남권 신공항 계획을 담당하는 국토부 관계자는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주장에 대해선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ADPi에 맡긴 과제는 신공항에 맞는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라면서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경제성을 포함해 모든 요인을 고려했을 때 최적의 입지가 없다면 2011년과 같이 입지 선정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