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진현진 기자
/자료사진=진현진 기자

KT는 5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KT만의 ICT 기술로 지금보다 더욱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KT는 이날 2015년 11월 평창에서 선보인 산악지역 재난안전통신 솔루션에 이어 해상에서의 재해재난에 대비하고 조난 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LTE 커버리지 확대 기술 및 KT만의 차별화된 해상안전 솔루션을 공개했다.

현재 해상에서 중계기 없이 통신이 되는 LTE 커버리지는 육지로부터 약 50km내외다. 이에 KT는 ‘LTE 타임 어드밴스’ 기술 기반의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OTHAD: Over The Horizon Antenna Distribution)’을 개발했다. 중계기 없이 최대 200km까지 커버리지를 확대하는데 성공한 것.

LTE 타임 어드밴스는 신호처리 및 수신방법을 개선한 기술로, 거리에 따라 단말과 기지국과의 동기화 시점을 자동으로 조정해 원거리에서도 단말과 기지국을 연결한다.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안테나 구성으로 먼 거리에서도 최소한의 오차로 정보를 전달한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이 설치된 제주도 한라산에서 서남방으로 185km 떨어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의 LTE 기반 영상통화에 성공한 영상을 공개하며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으로 명확한 긴급 상황전파와 구조요청이 가능해 졌다”고 설명했다. 또 오 부사장은 “태백산에도 울릉도까지 LTE 커버리지를 확보했고 주요 항로와 200km 내 어업장에도 자유로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KT는 코오롱인더스트리와 공동개발한 '사물인터넷(IoT) 라이프텍 재킷 마린'도 공개했다. IoT 라이프텍재킷 Marine은 재해재난 혹은 커버리지 제한으로 통신이 힘든 상황에서 구조율을 높이는 재킷으로 일반 아웃도어 점퍼처럼 착용 가능하며, 조난자가 물에 빠지는 긴급상황 발생 시 수압감지센서가 작동해 자동으로 구명튜브가 팽창된다. 또, IoT 모듈이 내장돼 조난자의 위치정보와 심박수 등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재난 상황실로 전달한다.

오 부사장은 "앞으로도 KT는 국민기업으로써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