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아셈)가 모든 일정을 마치고 지난 16일 폐막했다. /사진=뉴시스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아셈)가 모든 일정을 마치고 지난 16일 폐막했다. /사진=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5~16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아셈)가 모든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
아셈은 아시아와 유럽 간 관계 강화를 위한 지역간 협의체다. 이번 정상회의는 '아셈 20주년 : 연계성을 통한 미래 파트너십'을 주제로 아시아·유럽 51개국 정상 또는 각료급 인사를 비롯해 유럽연합(EU)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고위인사가 참석했다.

아셈은 이날 정상회의의 막을 내리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강력히 규탄하는 '의장성명'과 아셈의 미래 10년 청사진을 담은 '울란바토르 선언', 극단적 테러리즘을 규탄하는 '국제테러리즘에 관한 성명' 등 3개의 문서로 이번 정상회의 결과를 정리했다.


우선 의장성명에는 아셈 역사상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가장 강력한 수준으로 규탄하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의장성명은 "정상들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며 동북아 및 여타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하는 북한의 핵, 여타 대량 살상무기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가장 강력한 용어(in the strongest terms)로 규탄한다"고 명시했다.

또 "북한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추가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며 "정상들은 2005년 6자회담 9·19 공동성명과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및 여타 유엔 관련 결의를 전면적으로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청와대는 "최근 G7 정상회의와 아시아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외교장관회의 결과문서에 포함된 강력한 대북압박 내용에 덧붙여 이번 정상회의 문서에 북핵·미사일 관련 조달행위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하는 내용이 추가되는 등 국제사회의 더욱 강력한 대북 압박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이번 의장성명에서 북핵 문제는 다른 지역현안에 비해 더 상세하고 길게 기술돼 있다"며 "이는 EU 및 아세안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문안 협상 초기부터 중국, 러시아 등과 긴밀히 협의한 결과"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