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희봉 산자부 에너지자원실장. 지난달 2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백화점에서 채희봉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이 '문 열고 냉방' 자제 및 적정 냉방온도(26도) 준수 등 절전 협조 요청 및 거리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산자부 채희봉 에너지자원실장이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은 어렵다고 밝혔다. 채희봉 산자부(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오늘(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채희봉 실장은 "전기요금 누진제를 개편할 경우, 전기소비량이 적은 가구의 부담만 늘리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1%를 위한 부자 감세와 같다"며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채 실장은 이날 "월 600㎾ 이상 전기 소비를 하는 가구 비중은 작년 8월 기준으로 4%에 불과한데 누진제를 개편하면 결국 전기를 적게 쓰는 사람에게서 요금을 많이 걷어 전력 소비가 많은 사람의 요금을 깎아주게 된다"며 전기요금 누진제 논란이 과도하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채 실장은 또 국제기준과 비교해서 우리나라 주택용 전기요금이 높지 않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주택용 전기요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60% 수준이라는 것이다.
주택용 전기요금을 더 받아서 산업용 전기요금을 낮춘다는 문제제기에 대해서도 "최근 10년동안 산업용 전기요금이 76% 올라가는 동안 주택용 전기요금은 11% 오르는 수준에 그쳤다"며 형평성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