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네이버 |
네이버 TV캐스트가 글로벌 동영상 서비스에 대항하기 위해 정책을 변경한다.
우선 네이버는 광고 영업권을 가진 동영상 콘텐츠 중 2분30초 이상의 영상 클립에만 15초 광고를 적용한다. 2분30초라는 시간제한으로 이용자가 의무적으로 봐야 하는 광고 시간이 전체 영상 길이의 10%를 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더불어 해당 광고 정책이 자리 잡는 동안 창작자의 수익을 보전할 수 있도록 내년 연말까지 창작자에게 플랫폼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전체 수익 중 랩사 수수료를 제외한 전액이 창작자에게 돌아가는 것. 변경된 광고 정책은 약관에 동의한 창작자 및 제휴사에 한해 10월부터 적용될 방침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비SMR(스마트미디어랩) 콘텐츠의 광고 영업이 힘들어지면서 창작자 수익 강화를 위해 15초 광고를 도입한 바 있다. 네이버 측은 이번 정책 변경으로 인해 창작자들이 피해 받지 않도록 플랫폼 수수료를 내년까지 전면 면제하는 등 사용자와 창작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창작자들이 채널 개설 및 콘텐츠 유통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오는 9월부터 온라인 약관과 정산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로 인해 일주일 이상 소요되던 채널 개설 과정은 1분으로 줄어들고, 채널 개설부터 정산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해진다. 콘텐츠 성과 분석에 용이한 통계 기능도 기존 3개 항목에서 검색어, 재생시간, 성별·연령·지역 등까지 총 21개로 확대해 제휴사가 콘텐츠를 원활하게 유통,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네이버 동영상 장준기 셀장은 “이번 광고 정책 및 서비스 변경이 파트너와 상생을 기반으로 시너지를 내며 좋은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티핑포인트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네이버만의 특색이 있는 콘텐츠 확보에 힘쓰는 한편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서비스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한 웹드라마, 웹예능, 뷰티, 키즈, 게임 등 총 5개 분야 창작자들의 콘텐츠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